중소기업들 벼랑끝 비명
“사무실 문구류까지 대기업이 팔면 우린 어쩌라고”
“사무실 문구류까지 대기업이 팔면 우린 어쩌라고”
삼성, 엘지(LG) 등 대기업 계열사들이 공구, 베어링, 문구, 골판지상자 등 기업소모성자재(MRO) 시장에 발을 넓혀가고 있는 데 대해 중소·영세상인들이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17일 소상공인·자영업 관련 29개 단체로 구성된 전국소상공인단체연합회는 서울 중구 수표동 서울청소년수련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대기업의 무차별적인 시장침탈 중단’과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들은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를 꾸린 데 이어 다음 달 13~15일 대한상공회의소 앞에서 항의집회를 여는 등 직접 행동에 나설 예정이다.
이들 단체에 따르면, 지난해 기업소모성자재 시장 규모 23조원 가운데 아이마켓코리아(삼성), 서브원(엘지), 엔투비(포스코), 코리아이플랫폼(코오롱) 등 상위 4개사의 매출액이 7조원 가량을 차지했다. 계열사의 물량 몰아주기, 대량구매에 따른 원가절감 등에 힘입어 이들 회사는 연평균 20~30%씩 매출이 증가하고 있다. 이들이 최근에는 1~2차 협력업체와 공공기관 물량까지도 뺏아가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뚜렷한 대책이 없는 형편이다. 앞서 한국산업용재협회와 한국베어링판매협회가 4개 대기업 계열사에 대해 ‘사업조정’을 신청했지만 난항을 겪고 있다. 사업조정제도는 최고 6년까지 대기업의 사업인수·확장을 연기하도록 돼 있다. 하지만 지난해 중소기업중앙회의 5차례 자율조정은 실패했다. 안건은 중소기업청으로 넘어가 오는 20일 3차 조정을 앞두고 있다. 비대위는 정부·공공기관의 소모성자재 구입시 중소기업을 우선하는 내용 등을 담은 법률을 제정하고, 동반성장위원회가 추진 중인 유통업 중소기업 적합 업종에 소모성자재를 포함시킬 것을 주장하고 있다. 황예랑 기자 yrcom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