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광수 금융정보분석원장이 금융위원회 금융서비스국장 시절 부산저축은행그룹이 대전저축은행과 전주저축은행을 인수하는 과정에서 편의를 봐주는 대가로 금품을 받은 혐의로 조사를 받기 위해 2일 오전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으로 들어서고 있다. 이종근 기자 root2@hani.co.kr
저축은행 사태 어디까지 뻗나
소환된 ‘모피아’ 김광수
호남·광주일고 인맥이나
주요보직선 밀려나 있어
로비 핵심창구는 아닌듯 현정권서 부활한 김종창
부산저축 감싸기 드러나 대검 중수부가 김광수 금융정보분석원장과 김종창 전 금융감독원장을 수사 타깃으로 삼자 금융감독당국이 다시 혼돈 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두 사람은 출신 지역과 전·현 정권과의 밀착도가 다르다는 점에서 앞으로 대검 중수부의 수사 방향과 관련해서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광수 원장은 김석동 금융위원장의 ‘오른팔’로 불릴 정도로 신임을 받아온 이른바 ‘모피아’(금융 관료)의 핵심이다. 강한 업무 추진력과 원만한 대인관계로 능력을 인정받아 요직인 옛 재정경제부(현 기획재정부) 금융정책과장을 거쳤고, 이헌재 전 부총리를 필두로 변양호 전 금융정책국장, 김석동 금융위원회 위원장 등으로 이어지는 모피아의 적통을 이어받는 인물로 평가받아왔다. 그렇기에 그의 검찰 소환은 ‘외환은행 헐값 매각 사건’ 당시 변양호 전 국장의 기소 때와 비슷한 충격으로 받아들여진다. 김 원장이 특히 주목을 끄는 것은 그가 호남 출신 가운데 거의 유일한 금융감독당국 고위급 인사인데다 광주일고 출신이라는 점이다. 이런 이력으로 말미암아 그동안 금융권에서는 부산저축은행의 경영진을 구성했던 광주일고 인맥의 로비의 대상이 됐을 것으로 추정해 왔다. 한 금융권 인사는 “금융감독당국에 호남 출신들이 워낙 적다 보니 지역 민원들이 그에게 많이 전달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그러나 김 원장이 현 정권 들어서는 핵심 보직인 금융정책국장을 맡지 못하는 등 정권 실세들과 거리가 있었던 점을 고려하면 그가 부산저축은행 구명을 위한 핵심 로비 창구는 아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 정권과의 관계로 보면, 김종창 전 금융감독원장이 로비 창구로 활용됐을 가능성이 훨씬 높다. 김 전 원장은 이미 2001년 금융감독원 부원장을 끝으로 금융감독당국을 떠났으나, 현 정부 출범 이후 금융감독원장으로 화려하게 복귀했다. 그는 경북 예천 출신의 핵심 티케이 관료인데다 정권 실세인 강만수 산은금융지주 회장과 행시 동기(8회)로 막역한 관계다. 그뿐 아니다. 김 전 원장이 부산저축은행에 대한 감사원의 감사 요청에 제동을 걸고, 감사원까지 찾아가 부당함을 지적하는 등 부산저축은행을 감싸는 듯한 행보를 보인 것도 충분히 의심을 살 만한 대목이다. 중수부의 김 전 원장에 대한 수사가 주목받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일각에서는 김광수 원장이 광주일고 출신이고 2006년 저축은행 규제완화 정책이었던 ‘8·8클럽’ 입안 당시 대통령 비서실에 근무했던 경력을 들어 대검 중수부가 수사의 방향을 참여정부 인사들로 확대하는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현 정권의 핵심과 긴밀한 관계에 있는 김종창 전 원장의 석연치 않은 행적이 속속 드러나고 있어 검찰 수사의 불똥이 김 원장을 거쳐 현 정권 실세들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박현 기자 hyun21@hani.co.kr
호남·광주일고 인맥이나
주요보직선 밀려나 있어
로비 핵심창구는 아닌듯 현정권서 부활한 김종창
부산저축 감싸기 드러나 대검 중수부가 김광수 금융정보분석원장과 김종창 전 금융감독원장을 수사 타깃으로 삼자 금융감독당국이 다시 혼돈 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두 사람은 출신 지역과 전·현 정권과의 밀착도가 다르다는 점에서 앞으로 대검 중수부의 수사 방향과 관련해서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광수 원장은 김석동 금융위원장의 ‘오른팔’로 불릴 정도로 신임을 받아온 이른바 ‘모피아’(금융 관료)의 핵심이다. 강한 업무 추진력과 원만한 대인관계로 능력을 인정받아 요직인 옛 재정경제부(현 기획재정부) 금융정책과장을 거쳤고, 이헌재 전 부총리를 필두로 변양호 전 금융정책국장, 김석동 금융위원회 위원장 등으로 이어지는 모피아의 적통을 이어받는 인물로 평가받아왔다. 그렇기에 그의 검찰 소환은 ‘외환은행 헐값 매각 사건’ 당시 변양호 전 국장의 기소 때와 비슷한 충격으로 받아들여진다. 김 원장이 특히 주목을 끄는 것은 그가 호남 출신 가운데 거의 유일한 금융감독당국 고위급 인사인데다 광주일고 출신이라는 점이다. 이런 이력으로 말미암아 그동안 금융권에서는 부산저축은행의 경영진을 구성했던 광주일고 인맥의 로비의 대상이 됐을 것으로 추정해 왔다. 한 금융권 인사는 “금융감독당국에 호남 출신들이 워낙 적다 보니 지역 민원들이 그에게 많이 전달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그러나 김 원장이 현 정권 들어서는 핵심 보직인 금융정책국장을 맡지 못하는 등 정권 실세들과 거리가 있었던 점을 고려하면 그가 부산저축은행 구명을 위한 핵심 로비 창구는 아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 정권과의 관계로 보면, 김종창 전 금융감독원장이 로비 창구로 활용됐을 가능성이 훨씬 높다. 김 전 원장은 이미 2001년 금융감독원 부원장을 끝으로 금융감독당국을 떠났으나, 현 정부 출범 이후 금융감독원장으로 화려하게 복귀했다. 그는 경북 예천 출신의 핵심 티케이 관료인데다 정권 실세인 강만수 산은금융지주 회장과 행시 동기(8회)로 막역한 관계다. 그뿐 아니다. 김 전 원장이 부산저축은행에 대한 감사원의 감사 요청에 제동을 걸고, 감사원까지 찾아가 부당함을 지적하는 등 부산저축은행을 감싸는 듯한 행보를 보인 것도 충분히 의심을 살 만한 대목이다. 중수부의 김 전 원장에 대한 수사가 주목받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일각에서는 김광수 원장이 광주일고 출신이고 2006년 저축은행 규제완화 정책이었던 ‘8·8클럽’ 입안 당시 대통령 비서실에 근무했던 경력을 들어 대검 중수부가 수사의 방향을 참여정부 인사들로 확대하는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현 정권의 핵심과 긴밀한 관계에 있는 김종창 전 원장의 석연치 않은 행적이 속속 드러나고 있어 검찰 수사의 불똥이 김 원장을 거쳐 현 정권 실세들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박현 기자 hyun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