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 부사장, 신용등급 제고 조건으로 부채해결 거론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의 톰 번 국가신용등급 부문 수석 부사장이 한국의 가계부채 해결을 국가 신용등급 제고의 조건으로 들었다.
번 부사장은 29일(현지시각) 미국 뉴욕에서 열린 코리아소사이어티 주최 간담회에서 “한국 은행들의 자금조달 구조가 취약하고 한국의 가계부채 부담이 높은 건 경계해야 할 사항”이라고 지적했다. 번 부사장은 “집값이 급락하면 부동산 담보대출이 많은 한국 은행들이 파산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기 때문에 이런 리스크를 줄이는 것이 한국의 신용등급 상승에 필요조건”이라고 말했다.
번 부사장은 그러나 한국의 단기외채 비중이 낮고 외환보유액이 충분해 글로벌 금융위기에 크게 흔들리지 않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한국은 3200억달러의 충분한 외환보유액을 갖고 있고, 단기외채 비중도 외환보유액의 절반 이하 수준으로 줄었다”며 “유럽 각국이 달러자금을 회수할 경우, 위험에 노출될 순 있지만 충분히 견뎌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한국은 기업 수익률, 재정적자 문제, 금융부문 단기부채 등이 모두 양호해 위기를 잘 견딜 수 있는 체질”이라며 “한국은 글로벌 위기가 있더라도 금방 회복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번 부사장은 또 현재 (대화 무드의) 남북관계가 한국의 신용등급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지금같은 남북관계가 오래 지속될 수 있다면, 현재 (5단계인) A1인 한국의 신용등급이 (1~4단계인) Aa 수준으로 올라갈 수도 있다고 본다”며 “다만 신용등급은 대북관계보다 은행 건전성 등을 더 중요하게 본다”고 설명했다. 워싱턴/권태호 특파원 h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