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 수명 90살에 1인당 국민소득은 4만달러에 육박한다. 출산율은 상승하고 사교육비는 줄어들지만, 청년실업과 범죄율은 높아진다. 30년 뒤인 2040년 우리나라의 사회상이다. 오래살고, 소득수준은 높아지지만 장밋빛만은 아니다.
21일 기획재정부가 성균관대 하이브리드컬처연구소에 의뢰해 작성한 ‘2040년 한국의 삶의 질’ 보고서를 보면, 2040년 한국인의 평균수명은 89.38살로 2008년의 80.1살보다 9살가량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1인당 국민소득은 3만8408달러로 2009년(1만7175달러)의 두 배 이상 증가하고, 출산율도 2009년 1.15명에서 2040년 1.42명으로 개선된다.
반면, 청년실업률은 2010년 7.0%에서 2040년 8.62%로 늘어나면서 청년실업문제가 지금보다 더욱 심각해질 전망이다. ‘결혼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2009년 56.6%에서 2040년 40.71%로 크게 줄고, ‘노부모를 부양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 역시 19.20%로 2008년(40%)의 절반 수준에 불과할 것으로 분석됐다. 김경욱 기자 das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