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경제일반

‘뉴 아이패드’ 화면 선명해졌지만 무거워졌다

등록 2012-03-08 21:21수정 2012-03-08 21:23

HDTV보다 해상도 높아
LTE 지원·음성인식 기능
“한손으로 쓰기엔 불편”
애플이 새 아이패드를 내놨다. 모델 이름을 따로 달지 않고 아이패드란 이름 앞에 ‘새로 내놓은(new)’이란 수식어만 달아 소비자들이 혼란스러워하고 있다. 실제로 새 아이패드는 이전 모델인 아이패드2에 견줘, 해상도가 높아지고 4세대 이동통신(LTE)을 지원하는 반면 무거워지고 두꺼워져 휴대성이 떨어지는 등 상반된 평가를 받을 수 있는 요소를 함께 갖고 있다. 삼성전자와 아마존도 곧 대형 태블릿피시 신제품을 내놓을 예정이다.

7일(현지시각) 애플은 미국 샌프란시스코 예르바부에나센터에서 열린 신제품 발표회를 열어 새 아이패드를 공개했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는 “아이패드가 이끈 변화의 속도는 믿을 수 없고 모든 이를 놀라게 했다”며 “새 아이패드가 이를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새 아이패드는 지금까지 나온 휴대용 기기 중 화면 해상도가 가장 높다. 아이패드2(1024×768)보다 무려 4배(2048×1536)나 높다. 애플은 “기존 고화질(HD) 텔레비전의 해상도보다도 높다”고 강조했다. 와이파이와 함께 엘티이를 지원하고, 기존 1.0㎓ 듀얼코어 프로세서(A5)보다 앞선 프로세서(A5X)를 장착한 것도 새 아이패드의 특징이다. 음성 인식 기능이 추가되고, 카메라 기능도 강화됐다. 500만 화소(후면 기준)의 사진과 고화질(1080p) 동영상을 찍을 수 있다. 가격은 아이패드2 출시 때와 같은 499달러(최저가 모델)로 결정됐다.

삼성, 갤럭시노트 10.1
아마존, 킨들2 출시계획
태블릿PC 불꽃경쟁 예고

반면 휴대성은 후퇴했다. 새 아이패드의 두께는 아이패드2보다 0.6㎜ 두꺼워진 9.4㎜이고, 무게는 601g에서 635g(최저가 모델 기준)으로 무거워졌다. 미국 정보기술 전문지 <컴퓨터월드>는 새 아이패드에 대해 “아이패드2와 같은 가격이면서 화질이 개선된 부분은 경쟁력을 가지지만, 무겁고 두꺼워져 한 손으로 사용하기에 불편해진 점은 이해될 수 없고 경쟁력도 없다”고 상반된 평가를 내놨다.


주요 태블릿피시 비교
주요 태블릿피시 비교
새 아이패드는 오는 16일(현지시각) 미국 등 10개국에서 판매를 시작하며, 한국은 26일로 예정된 2차 판매예정 국가에도 포함되지 않았다. 애플은 새 아이패드를 공개하면서 아이패드2의 값을 399달러(최저가 모델 기준)로 100달러 내렸다.

한편, 삼성전자는 상반기에 태블릿피시 신제품 갤럭시노트 10.1을 내놓을 예정이다. 갤럭시노트 10.1은 프로세서 성능(1.4㎓ 듀얼코어)과 휴대성(무게 583g·두께 8.9㎜)에서 새 아이패드보다 낫지만, 화면 해상도(1280×800)는 처진다. 삼성전자는 갤럭시노트 10.1의 에스(s)펜·에스노트 기능과 휴대성으로 차별화를 시도할 계획이다. 아마존 역시 킨들파이어2로 대형 태블릿피시 시장에 도전장을 낼 것으로 보인다. 대만 전자부품산업 전문지 <디지타임스>는 아마존이 10.1인치 태블릿피시를 폭스콘에 주문했으며, 곧 아이패드보다 조금 더 큰 킨들파이어2가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고 보도했다. 김선식 기자 kss@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박정희의 또다른 ‘장물’ 청구대학
[단독] 국정원 ‘후쿠시마 방사능 유입 경고’ 막았다
쿵·쿵…6차례 발파…구럼비 해안 화약냄새로 뒤덮여
새누리 시스템 공천? 친박에겐 너그러운 ‘도덕성 잣대’
삼성에버랜드 ‘재벌 웨딩홀’ 시끌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음식점 폐업률 전국 1위는 이 도시…집값도 급락 직격탄 1.

음식점 폐업률 전국 1위는 이 도시…집값도 급락 직격탄

“그리 애썼던 식당 문 닫는 데 단 몇 분…” 폐업률 19년 만에 최고 2.

“그리 애썼던 식당 문 닫는 데 단 몇 분…” 폐업률 19년 만에 최고

90살까지 실손보험 가입 가능해진다…110살까지 보장 3.

90살까지 실손보험 가입 가능해진다…110살까지 보장

오세훈발 ‘토허제 해제’ 기대감…서울 아파트 또 오르나요? [집문집답] 4.

오세훈발 ‘토허제 해제’ 기대감…서울 아파트 또 오르나요? [집문집답]

한화 김동선, ‘급식업 2위’ 아워홈 인수한다 5.

한화 김동선, ‘급식업 2위’ 아워홈 인수한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