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총량 묶인 은행들
유일한 블루오션 판단 공략
부실화 위험 높아 조심조심
유일한 블루오션 판단 공략
부실화 위험 높아 조심조심
은행권이 소호(SOHO·개인사업자) 대출 쪽으로 무게중심을 옮기고 있다. 하지만 경기변동에 민감한 소호대출은 부실화 위험이 높아, 본격적인 시장 확대에는 주춤거리는 모양새다.
24일 케이비(KB)국민·우리·하나·신한·엔에이치(NH)농협은행 등 5개 시중은행의 개인사업자 대출 잔액(지난 3월 말 현재)을 집계해보니, 대출잔액 총액은 105조7942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94조3142억원)보다 1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통적으로 소규모 자영업 대출규모가 큰 국민은행(17%)과 후발주자로서 적극적인 영업에 나서고 있는 농협의 증가율(18%)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은행권에서는 개인사업자 대출 확대를 일종의 ‘고육책’이라고 설명한다. 주요 자금 운용처였던 가계의 경우, 정부가 지난해 ‘가계부채 종합대책’ 등을 내놓으며 총량 관리에 나선데다 부동산 거래량이 급감해 주택담보대출도 주춤하다. 법인 역시 경기 부진을 이유로 시설투자를 꺼리고 있어 자금수요가 정체 상태다. 결국 남은 곳은 개인사업자 대출 시장뿐이라는 판단이다. 농협은행 관계자는 “개인사업자는 동네 김밥집부터 강남의 임대업자까지 규모·업종이 매우 다양해 여러가지 상품을 개발할 수 있는 여지가 많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공격적 확대’에 대해선 유보적인 태도다. 자영업자는 기본적으로 경기에 민감하고 상환 능력도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 지난해 가계금융조사를 보면, 자영업자의 가처분 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중은 159.2%로 임금 근로자(83.4%)보다 갑절 가까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전체 자영업자 가운데 가처분소득에서 원리금상환액 비중이 40% 이상인 ‘고위험 가구’는 14%인 반면, 임금 및 기타 근로자 중 고위험군 비중은 10%를 밑돈다. 당장의 자금운용을 위해선 적극적인 대출이 불가피하지만, 언제 부실화될지 모르는 ‘시한폭탄’인 셈이다. 한 시중은행 고위 관계자는 “남은 곳은 여기밖에 없어 영업을 본격화할 수밖에 없는데, 공격적으로 하자니 위험부담이 높아 주춤하게 된다”고 털어놨다.
연체율도 복병이다. 개인사업자의 연체율은 1% 안팎으로 법인 대출보다 낮은 편이지만, 추세적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금융감독원 조사를 보면, 지난해 0.8%까지 떨어졌던 연체율은 올들어 증가세를 보여 지난 4월 말 현재 1.07%를 기록하고 있다. 은행들은 다음달부터 ‘동산·담보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면 좀 더 적극적인 영업에 나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앞으로는 기계·기구·원재료·매출채권 등을 모두 담보로 받을 수 있게 된다”며 “기존의 부동산·보증서 외에 담보력이 취약한 소상공인에 대한 대출을 늘릴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혜정 기자 idun@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화보] 일본 니콘이 취소한 ‘위안부 할머니 사진전’
■ 쓰레기차에 실려간 쌍용차 해고노동자 영정사진
■ 대법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 일본 기업이 손해배상해야”
■ ‘병만족’이 정글에서 살아남는 이유
■ 이상민, 유인나 성추행 의혹에 ‘발끈’
■ [화보] 일본 니콘이 취소한 ‘위안부 할머니 사진전’
■ 쓰레기차에 실려간 쌍용차 해고노동자 영정사진
■ 대법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 일본 기업이 손해배상해야”
■ ‘병만족’이 정글에서 살아남는 이유
■ 이상민, 유인나 성추행 의혹에 ‘발끈’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