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돌 기념식…“대공황에 버금”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는 현재 세계경제의 위기가 1930년대 대공황에 버금갈 정도로 심각하며, 더 근본적인 문제는 위기 극복의 해법이 아직까지 보이지 않는 데 있다고 밝혔다.
김 총재는 12일 한국은행 창립 62주년 기념식에서 “세계경제는 1930년대의 대공황 이후 가장 심각한 것이라고 일컬어지는 금융위기로부터 지난 5년간 각국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며 “이 위기가 언제 종료될 것인지가 아직 막연할 뿐 아니라 위기 종료의 조건조차 규명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미국 월가에서 촉발된 금융위기가 유럽으로 전파돼 국가채무 위기로 전이된 가운데 그 해결책이 묘연하다는 것이다. 그는 위기 발생에 대한 정치적 대처능력이 신속하지 못하다는 점을 현실적인 문제로 꼽았다.
김 총재는 “선진경제권에서 발생한 위기는 성장잠재력이 높은 신흥경제권의 성장을 유발함으로써 해결하는 게 지름길”이라면서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 신흥경제권의 중추적 구실을 강조했다. 이를 위해 “무엇보다 미국과 유럽의 양적완화 정책에 따른 부정적 파급영향을 최소화시키는 장치를 강구해 금융시스템의 안정을 유지해야 하다”고 덧붙였다.
김 총재는 유로존 체제의 미래에 대해선 상대적으로 낙관적인 견해를 밝혔다.
그는 “유로전 체제의 유지 또는 새로운 형태로의 전환은 정치지도자들의 결단이 필요한 문제“라며 “어떤 정치적 결정이 나든지 발생할 수 있는 각가지 경우에 따른 효과는 이미 시장상황에 어느 정도 반영됐다”고 진단했다. 그리스와 스페인 사태에 대해서도 “예상치 못한 일이 발생할 불확실성은 과거보다 확률이 줄었다”고 말했다.
박순빈 선임기자 sbpark@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대학생과 재수생 숫자도 ‘국가기밀’이었다?
■ “한기호 발언, 어떤 입장?” 이외수에 불똥
■ 전두환 ‘수백억 부자’ 자녀들에 추징금 못받나?
■ 사상 최대 ‘1조4천억원’ 주무른 환치기 일당 검거
■ 잘라진 금강산 길 앞에서 유아용 군복을 팔고…
■ 대학생과 재수생 숫자도 ‘국가기밀’이었다?
■ “한기호 발언, 어떤 입장?” 이외수에 불똥
■ 전두환 ‘수백억 부자’ 자녀들에 추징금 못받나?
■ 사상 최대 ‘1조4천억원’ 주무른 환치기 일당 검거
■ 잘라진 금강산 길 앞에서 유아용 군복을 팔고…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