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상품교역지수 75.2…역대 최저
반도체·철강 등 가격하락 영향
반도체·철강 등 가격하락 영향
우리나라 주력 수출제품의 가격이 계속 떨어져 상품교역조건이 사상 최저 수준으로 나빠졌다.
한국은행이 13일 내놓은 ‘2분기 중 무역지수 및 교역지수’를 보면, 2분기 중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75.2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6% 떨어졌다. 전년도 같은 기간과 비교해서는 지난 2010년 4분기 이후 7분기째 마이너스 상태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2분기 기준으로는 한은이 지난 1988년부터 통계를 작성한 이래 최저치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란 한 단위 수출대금으로 수입할 수 있는 상품의 양을 나타내는 것으로, 2005년 평균치를 기준(100)으로 삼는다. 즉 2005년에 수출품 100개에서 벌어들인 돈으로 수입품 100개를 살수 있었다면 올해 2분기에는 75.2개만 살 수 있게 됐다는 뜻이다.
교역조건이 나빠지면 수출을 늘려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끌어올리더라도 국민들의 실제 소득 수준과 더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국내총소득(GDI)을 늘리는 데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실제로 올해 2분기 중 상품수지 흑자는 84억80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7% 증가했지만, 수출입 단가의 등락을 고려하면 속빈 강정이다. 2분기 평균 수출단가지수는 반도체·석유화학제품·철강제품 등의 가격 하락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9% 떨어진 반면에 수입단가지수는 0.8% 올랐다.
한편 수출총액으로 수입할 수 있는 상품의 양을 뜻하는 ‘소득교역조건지수’는 137.3을 기록해 지난해 같은 기간(138.3)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그러나 소득교역조건 역시 3분기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2분기 수출물량은 반도체·자동차·자동차부품·철강 등을 중심으로 5.2% 증가한 반면에 수입물량은 전자부품 등 자본재를 중심으로 3.1% 감소했다.
박순빈 선임기자 sbpark@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일본 체조선수들 ‘욱일승천기’ 입고 메달 논란
■ “이런 경찰은 처음…사람 실려가도 모른척”
■ 기무사 사찰이 부른 어느 시민의 죽음
■ 박종우 이대론 병역면제 못받아…“정부가 해결해라”
■ 저소득층, 6월4일까지 월급 모두 모아야 ‘빚 해방’
■ 박용성 “신아람 영어 알아듣지 못해 항의 기회 놓쳤다”
■ [화보] 손연재, 마침내 눈물…“5등도 믿기지 않는다”
■ 일본 체조선수들 ‘욱일승천기’ 입고 메달 논란
■ “이런 경찰은 처음…사람 실려가도 모른척”
■ 기무사 사찰이 부른 어느 시민의 죽음
■ 박종우 이대론 병역면제 못받아…“정부가 해결해라”
■ 저소득층, 6월4일까지 월급 모두 모아야 ‘빚 해방’
■ 박용성 “신아람 영어 알아듣지 못해 항의 기회 놓쳤다”
■ [화보] 손연재, 마침내 눈물…“5등도 믿기지 않는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