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기업은행이 이란 쪽이 요구한 무역거래 결제 계좌의 금리인상을 수용하기로 했다.
16일 정부와 금융권의 말을 종합하면, 이란 중앙은행의 미누 키아니 라드 부총재는 이달 초 신제윤 기획재정부 1차관과 이순우 우리은행장, 조준희 기업은행장 등을 만나 우리·기업은행에 개설돼 있는 무역거래 결제 계좌의 금리를 0.1%에서 시중금리 수준으로 요구했다. 이 계좌에는 현재 약 5조원이 예치돼 있는데 시중금리 수준인 3%대로 끌어올릴 경우 이란은 약 1500억원의 이자수익을 추가로 올릴 수 있다.
이란과 국내 은행의 ‘금리 공방’은 2010년 미국의 대이란 금융제재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이란 핵개발 의혹에 따른 금융제재로 미국 달러화를 통한 한-이란 송금줄이 막히면서, 양국은 우리·기업은행에 원화결제 계좌를 개설해 거래하는 방안을 합의했다. 이란이 이 계좌에 들어오는 원유 수출대금으로 이란에 공산품을 수출하는 한국 기업에 원화로 결제하는 방식이다. 갈등은 유가상승에서 불거졌다. 유가가 급등하면서 이란의 원유 수출대금이 국내 공산품 수출대금보다 크게 늘어, 결제계좌에 돈이 쌓이게 된 것이다.
우리·기업은행은 이란 쪽 요구를 최대한 수용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두 은행은 예치기간별로 차등금리를 적용하되, 장기 예치금에 대해선 시중예금금리 수준을 반영하는 내용의 협상안을 마련해 17일 이란대사관에 전달하기로 했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이란도 예치기간에 따라 고금리를 적용해달라는 제안을 해왔다”며 “이란의 요구를 최대한 반영했다”고 밝혔다. 최혜정 최현준 기자 idun@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장준하 가족 월세집 산다”…누리꾼 “국가보훈처 뭐하나”
■ 장준하 선생 타살의혹 보도에 박근혜쪽 ‘설마 발목 잡힐까’
■ 한화 내부문서엔…“김승연 회장은 신의 경지”
■ 박근혜와 악수하던 50대 “내가 김문수 멱살 잡은 사람”
■ “삼환 협력사 ‘줄부도’ 위기…사장들 유서 갖고 다녀”
■ 채시라 “티아라 은정이 물어보는 것 있다면 도울 것”
■ [화보] 장준하 선생을 기억하며
■ “장준하 가족 월세집 산다”…누리꾼 “국가보훈처 뭐하나”
■ 장준하 선생 타살의혹 보도에 박근혜쪽 ‘설마 발목 잡힐까’
■ 한화 내부문서엔…“김승연 회장은 신의 경지”
■ 박근혜와 악수하던 50대 “내가 김문수 멱살 잡은 사람”
■ “삼환 협력사 ‘줄부도’ 위기…사장들 유서 갖고 다녀”
■ 채시라 “티아라 은정이 물어보는 것 있다면 도울 것”
■ [화보] 장준하 선생을 기억하며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