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4 화이트
누리꾼 “단종 앞두고 있는 제품을 판금” 싸늘한 반응
24일 법원이 삼성전자가 애플을 상대로 낸 특허·디자인 침해 소송에서 “애플이 삼성의 특허권을 침해한 게 맞다”며 아이폰4 등을 판매금지 조처한 것을 두고 일부 언론이 “삼성의 승리”라고 자축하고 있는 가운데 누리꾼들은 “단종을 앞두고 있는 제품을 판매금지한 것을 승리라고 할 수 있느냐”며 싸늘한 반응을 보였다.
이날 서울중앙지법은 삼성전자가 애플코리아를 상대로 낸 소송에서 애플은 삼성에 4000만원을 배상하고 아이폰 3GS와 아이폰4, 아이패드 1, 2 등 4종의 판매를 금지했다. 또 애플이 삼성전자를 상대로 낸 특허권 침해 소송과 관련해서는 삼성전자가 애플에 2500만원을 배상할 것과, 갤력시S, 갤력시 탭 등 모두 6종의 제품을 판매금지했다.
누리꾼들은 삼성의 경우 판매금지 대상 제품이 현재 판매가 되지 않고 있어 실질적인 피해가 없기 때문에 사실상 ‘삼성의 대승’이라는 일부 언론의 해석에 동의하지 않는 분위기다. 트위터아이디 kko***는 “기사에서 애플이 아이폰4를 못 팔아서 손해가 막심할 거라는데. 어차피 다음달 내지는 다다음달에 아이폰5가 나오고 아이폰4S가 할인, 아이폰4는 단종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nuu**역시 “아이폰4 아이패드1, 2나 갤럭시에스2 갤럭시탭10.1 판매금지. 딱히 살 건 하나도 없네”라며 애플 일방의 피해로 나타날 것이라는 언론의 분석을 에둘러 비판했다.
실제 애플의 경우 지난해 11월 이미 아이폰4의 후속모델인 아이폰4S를 출시했으며, 역시 지난 4월 아이패드2 후속으로 ‘뉴아이패드’가 출시된 바 있다. 법원이 판매금지한 제품이 모두 최신 제품이 아니라는 점에서 2_J***는 “소나타3 판매금지하는 소리하고 있네”라고 비꼬았다.
“아이폰4가 엄청 팔렸는데 겨우 몇천만원 배상하라는 판결 받은 게 자랑이냐(Nex********)”며 실제 판결 내용도 삼성이 내세울만하지 않다고 꼬집는 글도 여럿 올라왔다. mid*******는 “삼성과 국익과의 연관성이 없거나 있어도 반비례일 것 같다”며 “한국사람으로서 국익을 생각할 때, 삼성의 특허전쟁 승리를 반가워야 하는데 전혀 그렇지 않다”고 씁쓸해했다. 진명선 기자 torani@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단독] “‘칼부림’ 김씨, 회사서 특별히 왕따는 아니었다”
■ 원탁회의 “안철수 대선출마하라”…개혁진영과 협력준비 촉구
■ 1천억 들인 대잠미사일 ‘홍상어’ 시험발사 실패
■ 사우나 토크로 시원한 웃음 제조하는 ‘해피투게더’
■ ‘홍대 스타일~’ 수입 오토바이의 질주
■ 파업기자 ‘보복 징계’ 난무…공정보도 약속도 헌신짝
■ [화보] 한여름 녹일 연아의 얼음나라 기대하세요!
■ [단독] “‘칼부림’ 김씨, 회사서 특별히 왕따는 아니었다”
■ 원탁회의 “안철수 대선출마하라”…개혁진영과 협력준비 촉구
■ 1천억 들인 대잠미사일 ‘홍상어’ 시험발사 실패
■ 사우나 토크로 시원한 웃음 제조하는 ‘해피투게더’
■ ‘홍대 스타일~’ 수입 오토바이의 질주
■ 파업기자 ‘보복 징계’ 난무…공정보도 약속도 헌신짝
■ [화보] 한여름 녹일 연아의 얼음나라 기대하세요!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