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마트 의무휴업일에 인근 전통시장 점포 40%가량의 매출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마트 의무휴업 제도가 전통시장 매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만큼, 현행 규제를 유지해야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릴 전망이다.
서울시 산하 서울연구원은 지난 7월30일부터 8월19일까지 강동·송파 지역을 중심으로 서울시내 전통시장 709개 점포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3일 밝혔다. 시내 대형마트와 기업형슈퍼마켓(SSM)은 지난 4월부터 매월 둘째·넷째 일요일에 의무휴업을 실시해오다 절차상의 문제로 지난 6월말부터 강동·송파 지역을 시작으로 정상영업에 들어가 있다.
조사 결과 강동·송파 지역의 경우 조사대상 점포의 42.0%가, 그외 지역은 40%가 의무휴업일에 일평균 매출액과 고객수가 늘었다고 답했다. 시장규모가 작을수록, 대형마트와 가깝거나 상인회가 조직된 시장일수록 영업실적의 증가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고 연구원은 분석했다.
특히 조사 기간인 8월초에 이미 대형마트들이 정상영업에 들어간 강동·송파 지역은 영업제한 뒤 8.3만원, 6.2명씩 늘었던 하루 매출액과 고객수가 정상영업이 재개되고 난 이후로는 10.9만원, 9.5명씩 줄어들어 의무휴업 제도의 영향이 확연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김범식 서울연구원 책임연구원은 “대형마트 영업 제한이 전통시장 매출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주장과는 상반된 결과”라며 “경기침체로 인한 소비위축세를 고려할 경우 대형마트의 의무휴업은 전통시장, 특히 경쟁력이 취약한 시장의 매출하락 추세를 억제하는데 기여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기용 기자 xeno@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추석 뒤 여론조사…박 ‘하락 진정’, 안 ‘주춤’, 문 ‘꾸준한 상승’
■ 중국 ‘보시라이 부적절한 성관계’ 공개 왜?
■ “성폭행범인데 구속영장 기각” 피해 여성 투신자살
■ 논문 원저자도 “안철수 표절 아니다”…‘묻지마 검증’ 비판
■ 김재범 “식사 오라 해서…” 새누리 ‘묻지마 영입’ 망신
■ 한영애, 광주서 ‘빨치산 노래’ 부른다
■ [화보] 하늘에서 본 아름다운 섬 제주도
■ 추석 뒤 여론조사…박 ‘하락 진정’, 안 ‘주춤’, 문 ‘꾸준한 상승’
■ 중국 ‘보시라이 부적절한 성관계’ 공개 왜?
■ “성폭행범인데 구속영장 기각” 피해 여성 투신자살
■ 논문 원저자도 “안철수 표절 아니다”…‘묻지마 검증’ 비판
■ 김재범 “식사 오라 해서…” 새누리 ‘묻지마 영입’ 망신
■ 한영애, 광주서 ‘빨치산 노래’ 부른다
■ [화보] 하늘에서 본 아름다운 섬 제주도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