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건설 등 위험업종 대출 축소
환율하락 타격 업체도 선별작업
“수조원 신규 공급” 계획과 모순
환율하락 타격 업체도 선별작업
“수조원 신규 공급” 계획과 모순
은행들이 ‘리스크 관리 강화’를 올해 주요 경영과제로 내세우며, 본격적인 기업대출 연체율 관리에 나서고 있다. 위험업종 대출을 줄이는 등 자산 재조정 작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이는 최근 은행들이 앞다퉈 내놓는 중소기업 지원 움직임에 배치되는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13일 은행권의 말을 종합하면, 우리은행은 조선·건설·부동산개발업에 대한 여신 심사기준을 강화해 대출비중을 축소하기로 했다. 대신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는 휴대전화와 자동차업종 여신은 확대할 방침이다. 또 원-달러 환율 하락세가 이어지면서, 환율 하락으로 채산성 하락이 우려되는 업종에 대해서도 심사를 강화하기로 했다. 하나은행도 성장 전망이 어두운 업종의 대출을 줄이기로 하고 대상 중소기업을 선별하는 작업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연체율이 높은 업종에서 최근 3∼6개월간 연체액이 크게 늘어난 기업의 대출을 축소할 방침이다. 신한은행도 자산 포트폴리오 조정을 위한 세부작업에 착수했고, 외환은행은 성장성이 높은 중소기업을 집중 지원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하지만 은행권의 이런 움직임은 최근 앞다퉈 중소기업 지원책을 내놓은 것과는 배치되는 행보다. 시중은행들은 최근 설을 앞두고 자금난에 빠진 중소기업에 각각 수조원에 이르는 자금을 신규공급하겠다는 계획을 내놓는 등 올해 중소기업 자금지원을 확대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금융권에서는 은행들이 자금압박을 받는 기업에 대해 곧바로 여신 회수 등 ‘강경책’을 취하긴 어려울 것이라는 시각이 많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담보가 아닌 성장성을 바탕으로 한 신용대출 중심으로 운용하라는 것이 당국의 일관된 방향이다. 또 새 정부의 중소기업을 중시하는 정책기조를 볼 때, ‘비 올 때 우산뺏기’식으로 운용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혜정 기자 idun@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장정일 “김지하, 왜 거짓말 밥 먹듯 할까?” 비판
■ 어버이연합 패러디 ‘대자연’ 총재는 누구?
■ 호랑이 없는 산골의 왕은, 자그마한 ‘담비’
■ 고 노무현 전대통령 비하한 게임 ‘바운지볼’ 논란
■ “징계 풀리면 중국 잡아보는 것이 목표”
■ 장정일 “김지하, 왜 거짓말 밥 먹듯 할까?” 비판
■ 어버이연합 패러디 ‘대자연’ 총재는 누구?
■ 호랑이 없는 산골의 왕은, 자그마한 ‘담비’
■ 고 노무현 전대통령 비하한 게임 ‘바운지볼’ 논란
■ “징계 풀리면 중국 잡아보는 것이 목표”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