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변동금리부 대출 등의 기준지표로 현행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 대신에 ‘코리보’가 떠올랐다.
한국금융연구원은 22일 발간한 ‘국내 단기금융시장의 발전과 향후 과제(단기금융백서)’에서 “시디 금리를 완전히 대체하는 방안으로 코리보의 활용도를 높이는 것을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코리보란, 주로 유럽 금융시장에서 쓰이는 리보금리처럼 국내 금융기관간 단기자금 거래에 적용되는 금리를 말한다. 금융연구원 백서는 지난해 7월 시디 금리 짬짜미 의혹에 대한 공정거래위원회의 조사에 따라 금융위원회와 기획재정부, 한국은행 등을 중심으로 꾸려진 ‘단기지표금리 개선 관계기관 합동 태스크포스(TF)’에서 논의한 내용을 정리한 것이어서, 곧 정부안으로 확정될 가능성이 크다.
백서는 코리보가 국제적 통용도가 우수하고 특정 금융상품 거래량에 영향을 받지 않은 가운데 금리 산출에 지속성이 보장된다는 것을 장점으로 꼽았다. 다만 아직까지 시디 금리에 연동되는 은행 장기대출이나 파생금융상품의 비중이 워낙 커 당장 대체 지표로 코리보를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3~5년을 준비기간으로 잡아 시장의 혼란을 줄이면서 코리보 거래를 점차 확대하는 한편, 내부통제시스템 구축과 거래보고 의무화, 독립적인 주관기구 신설 등으로 신뢰성을 높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단기 지표금리의 개발은 정책적 노력 못지 않게 시장 참가자들의 수용성이 중요한 만큼 코리보 호가 산출에 참여하는 금융기관을 더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금은 시중은행을 중심으로 금융기관 14곳만 참여해 자율적으로 코리보를 집계하고 있다.
H6s박순빈 선임기자 sbpark@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단독] 군 ‘K2 파워팩’ 중개상 끼워 구매…김병관 소속 업체도 43억원 챙겨
■ [단독] 국정원 고발당한 ㄱ씨 “국정원, MB정부서 충성기관 변모…민주주의 역행 참을 수 없었다”
■ 평생 연금 내고는 제대로 못 받는 거 아닌가요?
■ 조윤선 여가부 후보, 세금 지각납부에 탈루도
■ 팽 당한 ‘경제민주화’…표현 바뀐채 하위전략 밀려
■ [단독] 군 ‘K2 파워팩’ 중개상 끼워 구매…김병관 소속 업체도 43억원 챙겨
■ [단독] 국정원 고발당한 ㄱ씨 “국정원, MB정부서 충성기관 변모…민주주의 역행 참을 수 없었다”
■ 평생 연금 내고는 제대로 못 받는 거 아닌가요?
■ 조윤선 여가부 후보, 세금 지각납부에 탈루도
■ 팽 당한 ‘경제민주화’…표현 바뀐채 하위전략 밀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