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김석기, 윤석화, 이수형, 전성용씨.
*김석기: <전 중앙종금 사장>
뉴스타파 ‘조세회피처 명단’ 3차 발표
뉴스타파 ‘조세회피처 명단’ 3차 발표
김씨, 페이퍼컴퍼니 6개 만들어
이수형 삼성 준법경영실 전무와
조원표 앤비아이제트 대표도 등재
2명 모두 동아일보 기자 출신
전성용 경동대 총장도 이름 올려 김석기(56) 전 중앙종금 사장과 연극배우 윤석화(57)씨 부부, 이수형(51) 삼성 준법경영실 전무가 조세회피지역 영국령 버진아일랜드에 세워진 페이퍼컴퍼니(서류상 회사)에 등기이사로 이름을 올렸다고 비영리 탐사보도 온라인 매체 <뉴스타파>가 밝혔다. 30일 뉴스타파가 공개한 자료를 보면, 김 전 사장과 윤씨 등은 2005년 6월 버진아일랜드에 ‘에너지링크 홀딩스 리미티드’(Energylink Holdings Limited)라는 페이퍼컴퍼니에 등기이사로 이름을 올렸다. 거액의 외화와 회사 자금을 빼돌린 혐의로 1999년 구속됐다 풀려난 김 전 사장은 검찰 수배를 피해 외국으로 도피한 2000년 이후에 세운 3개의 법인을 포함해 1990~2005년 사이 총 6개의 페이퍼컴퍼니를 조세회피 지역에 만들었다고 뉴스타파는 설명했다. 김 전 사장은 서울대 경영학과와 미국 하버드대를 졸업한 뒤 1990년 홍콩에서 투자회사를 운영하며 국제 금융 감각을 키운 것으로 알려졌다. 조세회피 지역에 페이퍼컴퍼니를 만들고 이를 통해 주식에 투자해 돈을 번 것으로 전해진다. 귀국 뒤엔 월가 출신 한국 금융인으로 불리며 주목을 받았으나 그가 국외에서 들여와 국내 채권 등에 투자한 자금이 노태우 전 대통령과 연루돼 있다는 소문이 돌며 ‘노씨 자금 관리인’이란 의혹에 휩싸이기도 했다. 그는 이미경 씨제이(CJ)그룹 부회장과 결혼한 뒤 이혼했고, 윤석화씨와 재혼한 걸로도 사람들의 입길에 올랐다. 김 전 사장은 1997년 경영난을 겪던 한누리투자증권 사장으로 부임해 6개월 만에 흑자로 돌려놓는 사업 수완을 발휘했다. 그러나 사모사채 인수 과정에서 차익을 챙기고 지분을 매집했다는 이유로 대주주 쪽과 갈등을 빚다 해임됐다. 그 뒤 증권사 설립을 추진하던 그는 동국제강그룹의 중앙종금 지분을 매입해 최대주주를 거쳐 1999년 사장직에 올랐다가 취임 열흘 만에 외국환관리법 위반 등의 혐의로 검찰에 구속되기도 했다. 그 뒤 구속적부심을 통해 풀려났고, 이후 주가조작 혐의로 수사망에 오르자 출국해 기소중지된 상태다. 아내 윤씨는 30여년 동안 연극 <신의 아그네스>, 뮤지컬 <명성황후> 등에 출연한 스타 배우다. 윤씨는 자신이 발행인으로 있는 월간 <객석> 쪽을 통해 “남편이 사업 실패로 한동안 어려운 시기를 보냈는데, 부부지간이니까 힘이라도 될까 싶어 이사로 이름을 올렸다. 페이퍼컴퍼니라는 것은 전혀 몰랐다”고 주장했다. 김 전 사장의 페이퍼컴퍼니에는 이수형 삼성 준법경영실 전무와 조원표(46) 앤비아이제트 대표도 등기이사로 함께 이름을 올렸다. 김 전 사장이 검찰 수사를 받을 당시 <동아일보> 사회부 법조팀 기자로 그에 대한 기사를 작성하기도 했던 이 전무는 2006년 5월 삼성전자로 자리를 옮겼으며 그해 8월 페이퍼컴퍼니에 이름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조 대표 역시 김 전 사장의 수사 당시 동아일보 법조팀 기자로 활동한 바 있다. 이 전무와 조 대표는 모두 “이름만 빌려줬을 뿐”이라는 입장이다. 김 전 사장 쪽이 페이퍼컴퍼니를 만든 이유와 탈세 및 비자금 형성 등 불법성 여부는 향후 국세청이 조사에 착수할 경우 밝혀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뉴스타파는 이밖에 전성용(42) 경동대 총장도 버진아일랜드에 페이퍼컴퍼니를 만든 뒤 법인 명의의 계좌를 개설했다고 덧붙였다. 그의 부친은 경동대를 비롯해 동우대, 경복대 등을 설립한 전재욱(74) 전 총장이다. 전 전 총장은 교비 횡령 혐의로 유죄를 선고받기도 했다. 동우대는 경영부실 대학으로 지정돼 지난해 경동대로 통폐합됐다. 홍대선 송경화 정상영 기자 hongds@hani.co.kr
이수형 삼성 준법경영실 전무와
조원표 앤비아이제트 대표도 등재
2명 모두 동아일보 기자 출신
전성용 경동대 총장도 이름 올려 김석기(56) 전 중앙종금 사장과 연극배우 윤석화(57)씨 부부, 이수형(51) 삼성 준법경영실 전무가 조세회피지역 영국령 버진아일랜드에 세워진 페이퍼컴퍼니(서류상 회사)에 등기이사로 이름을 올렸다고 비영리 탐사보도 온라인 매체 <뉴스타파>가 밝혔다. 30일 뉴스타파가 공개한 자료를 보면, 김 전 사장과 윤씨 등은 2005년 6월 버진아일랜드에 ‘에너지링크 홀딩스 리미티드’(Energylink Holdings Limited)라는 페이퍼컴퍼니에 등기이사로 이름을 올렸다. 거액의 외화와 회사 자금을 빼돌린 혐의로 1999년 구속됐다 풀려난 김 전 사장은 검찰 수배를 피해 외국으로 도피한 2000년 이후에 세운 3개의 법인을 포함해 1990~2005년 사이 총 6개의 페이퍼컴퍼니를 조세회피 지역에 만들었다고 뉴스타파는 설명했다. 김 전 사장은 서울대 경영학과와 미국 하버드대를 졸업한 뒤 1990년 홍콩에서 투자회사를 운영하며 국제 금융 감각을 키운 것으로 알려졌다. 조세회피 지역에 페이퍼컴퍼니를 만들고 이를 통해 주식에 투자해 돈을 번 것으로 전해진다. 귀국 뒤엔 월가 출신 한국 금융인으로 불리며 주목을 받았으나 그가 국외에서 들여와 국내 채권 등에 투자한 자금이 노태우 전 대통령과 연루돼 있다는 소문이 돌며 ‘노씨 자금 관리인’이란 의혹에 휩싸이기도 했다. 그는 이미경 씨제이(CJ)그룹 부회장과 결혼한 뒤 이혼했고, 윤석화씨와 재혼한 걸로도 사람들의 입길에 올랐다. 김 전 사장은 1997년 경영난을 겪던 한누리투자증권 사장으로 부임해 6개월 만에 흑자로 돌려놓는 사업 수완을 발휘했다. 그러나 사모사채 인수 과정에서 차익을 챙기고 지분을 매집했다는 이유로 대주주 쪽과 갈등을 빚다 해임됐다. 그 뒤 증권사 설립을 추진하던 그는 동국제강그룹의 중앙종금 지분을 매입해 최대주주를 거쳐 1999년 사장직에 올랐다가 취임 열흘 만에 외국환관리법 위반 등의 혐의로 검찰에 구속되기도 했다. 그 뒤 구속적부심을 통해 풀려났고, 이후 주가조작 혐의로 수사망에 오르자 출국해 기소중지된 상태다. 아내 윤씨는 30여년 동안 연극 <신의 아그네스>, 뮤지컬 <명성황후> 등에 출연한 스타 배우다. 윤씨는 자신이 발행인으로 있는 월간 <객석> 쪽을 통해 “남편이 사업 실패로 한동안 어려운 시기를 보냈는데, 부부지간이니까 힘이라도 될까 싶어 이사로 이름을 올렸다. 페이퍼컴퍼니라는 것은 전혀 몰랐다”고 주장했다. 김 전 사장의 페이퍼컴퍼니에는 이수형 삼성 준법경영실 전무와 조원표(46) 앤비아이제트 대표도 등기이사로 함께 이름을 올렸다. 김 전 사장이 검찰 수사를 받을 당시 <동아일보> 사회부 법조팀 기자로 그에 대한 기사를 작성하기도 했던 이 전무는 2006년 5월 삼성전자로 자리를 옮겼으며 그해 8월 페이퍼컴퍼니에 이름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조 대표 역시 김 전 사장의 수사 당시 동아일보 법조팀 기자로 활동한 바 있다. 이 전무와 조 대표는 모두 “이름만 빌려줬을 뿐”이라는 입장이다. 김 전 사장 쪽이 페이퍼컴퍼니를 만든 이유와 탈세 및 비자금 형성 등 불법성 여부는 향후 국세청이 조사에 착수할 경우 밝혀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뉴스타파는 이밖에 전성용(42) 경동대 총장도 버진아일랜드에 페이퍼컴퍼니를 만든 뒤 법인 명의의 계좌를 개설했다고 덧붙였다. 그의 부친은 경동대를 비롯해 동우대, 경복대 등을 설립한 전재욱(74) 전 총장이다. 전 전 총장은 교비 횡령 혐의로 유죄를 선고받기도 했다. 동우대는 경영부실 대학으로 지정돼 지난해 경동대로 통폐합됐다. 홍대선 송경화 정상영 기자 hongd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