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 영향은
주가·채권값 급락…환율 급등
금리 올라 기업·가계 부담 우려 “양적완화 가이드라인 나와
불확실성 사라져” 낙관론도
무디스 “한국, 수출 늘릴 기회”
한은도 금리 손 안댈 가능성 대규모로 달러를 풀어 침체된 경기를 떠받쳐온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벤 버냉키 의장이 19일(현지시각) 양적완화 축소 방침을 재확인하면서 당장은 하반기 한국경제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커졌다. 양적완화 축소를 우려해온 국내 금융시장은 주가와 채권값이 급락하고 환율이 급등하는 등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김성태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금융위기 이후 과잉 공급한 유동성으로 자산가치 상승과 실물경제 부진 간의 괴리가 커져가는 상황에서 출구전략은 한번은 거쳐야할 관문이었다”며 “일시적으로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수는 있지만 실물경제에 끼칠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시장 참여자들은 대규모 채권 매입을 앞세운 미국의 양적완화 정책이 본격적인 축소 단계에 들어갈 경우 달러화 강세 속에 급격한 자금 이탈로 국내 금융시장이 큰 혼란에 빠질 것을 가장 우려하고 있다. 버냉키 의장이 연방 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직후 기자회견에서 양적완화 축소의 이정표(로드맵)를 언급했을 뿐인데도 금융시장이 심하게 출렁인 것은 출구전략에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 보여주는 단적인 예다. 기업들은 금융시장의 변동 폭이 커질 경우 실물경제로 전이돼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을까 걱정하고 있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미국 경기가 회복돼 출구전략을 쓴다고 하지만 유럽·중국·일본·신흥국 등 세계 경기는 아직 좋지 않은 상황이다. 출구전략으로 실물경기 회복이 지연되고 한국도 회복세가 약화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화는 다시 강세로 돌아섰다. 미국에선 국채금리가 가파르게 올랐다. 미국 국채금리 상승이 국내 시장금리에 영향을 끼치면 가계와 기업은 그 부담을 피할 수 없다. 1000조원에 이르는 부채를 짊어진 가계의 이자 부담이 커지면 소비가 위축되고 시황이 좋지 않은 업종의 기업은 자금경색이 더 심해지면서 결국 경제에 악영향을 준다.
출구전략 시행은 예고된 일인데다 미국 경기의 회복은 대외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 경제에 긍정적인 신호가 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단기적으로 금융시장의 변동성은 확대되겠지만, 출구전략을 미국 경기의 회복세가 궤도에 올랐음을 보여주는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는 점에서다. 하준경 한양대 교수(경제학)는 “외환시장의 변동성만 적절히 조절되면 기업들은 일본의 아베노믹스로 피해봤던 부분을 상쇄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아베노믹스의 성패 여부가 변수겠지만, 자동차와 전자 등 수출 기업들한테 미국의 경기 회복은 장기적으로 호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는 “미국이 출구전략을 펴더라도 한국의 신용등급에 악영향이 없으며, 오히려 미국 경제의 회복으로 수출을 늘릴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놨다.
미국의 출구전략 방침에도 한국은행이 올해 기준금리에 손댈 가능성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됐다. 장보형 하나금융연구소 연구위원은 “경기 흐름과 주요국 중앙은행의 엇박자 등을 감안할 때 한은이 연내 추가로 금리를 내리거나 올릴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의 출구전략을 하반기 경제운용의 중요한 변수로 주목해온 정부는 금융시장의 출렁임이 경계할 변수이지만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니라고 판단하고 있다. 추경호 기획재정부 1차관은 “2008년 금융위기 당시 문제가 됐던 단기외채 비율을 낮춰왔고 은행의 예대율(예금잔액에 견준 대출잔액의 비율)도 관리해왔기 때문에 시장 불안은 오래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홍대선 권은중 최현준 기자 hongds@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국정원, 느닷없는 ‘노무현 NLL 발언’ 공개 왜?
■ YTN, 편집국 간부 지시에 ‘국정원 박원순 비하글’ 특종을…
■ 이효리씨! 3년 전 ‘독설’ 사과합니다
■ 한국산 최루탄, 터키 시위대를 진압하다
■ [화보] 백년된 기둥이 살고 마당 헝겊꽃엔 새들이…
금리 올라 기업·가계 부담 우려 “양적완화 가이드라인 나와
불확실성 사라져” 낙관론도
무디스 “한국, 수출 늘릴 기회”
한은도 금리 손 안댈 가능성 대규모로 달러를 풀어 침체된 경기를 떠받쳐온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벤 버냉키 의장이 19일(현지시각) 양적완화 축소 방침을 재확인하면서 당장은 하반기 한국경제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커졌다. 양적완화 축소를 우려해온 국내 금융시장은 주가와 채권값이 급락하고 환율이 급등하는 등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김성태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금융위기 이후 과잉 공급한 유동성으로 자산가치 상승과 실물경제 부진 간의 괴리가 커져가는 상황에서 출구전략은 한번은 거쳐야할 관문이었다”며 “일시적으로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수는 있지만 실물경제에 끼칠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시장 참여자들은 대규모 채권 매입을 앞세운 미국의 양적완화 정책이 본격적인 축소 단계에 들어갈 경우 달러화 강세 속에 급격한 자금 이탈로 국내 금융시장이 큰 혼란에 빠질 것을 가장 우려하고 있다. 버냉키 의장이 연방 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직후 기자회견에서 양적완화 축소의 이정표(로드맵)를 언급했을 뿐인데도 금융시장이 심하게 출렁인 것은 출구전략에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 보여주는 단적인 예다. 기업들은 금융시장의 변동 폭이 커질 경우 실물경제로 전이돼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을까 걱정하고 있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미국 경기가 회복돼 출구전략을 쓴다고 하지만 유럽·중국·일본·신흥국 등 세계 경기는 아직 좋지 않은 상황이다. 출구전략으로 실물경기 회복이 지연되고 한국도 회복세가 약화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 국정원, 느닷없는 ‘노무현 NLL 발언’ 공개 왜?
■ YTN, 편집국 간부 지시에 ‘국정원 박원순 비하글’ 특종을…
■ 이효리씨! 3년 전 ‘독설’ 사과합니다
■ 한국산 최루탄, 터키 시위대를 진압하다
■ [화보] 백년된 기둥이 살고 마당 헝겊꽃엔 새들이…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