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출>소득 ‘적자가구’ 분석
부채상환 비율 꾸준히 상승
소비 감소에 경기침체 우려
부채상환 비율 꾸준히 상승
소비 감소에 경기침체 우려
소득보다 지출이 더 많은 ‘적자가구’의 빚 상환 노력이 민간소비 침체로 이어지고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한국은행 계량모형부 황상필 팀장과 정원석 조사역은 12일 낸 ‘가계수지 적자가구의 경제행태 분석’이란 보고서에서, 2008년 이후 민간소비 증가율이 경제 성장률조차 밑돌게 된 배경과 원인을 이렇게 분석했다. 우리나라 가계의 평균 소득대비 가계수지(소득-지출) 비율은 2008년 19.8%에서 2010년 18.5%까지 떨어졌다가 2011년 18.9%, 2012년 21.1%로 개선되는 추세이다. 또 전체 가구에서 적자가구가 차지하는 비율도 2003~2011년에는 평균 26.1%이다가 2012년에는 23.7%로 줄었다.
이런 추이에 대해 황상필 팀장은 “가계의 소득 여건이 나아지지 않은 가운데 가계의 점진적인 수지 개선과 부채 상환 증가가 소비 위축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진단했다. 실제로 가계의 소득대비 부채 상환액 비율은 2004년 약 20%선에 그쳤다가 2012년에는 30% 수준으로 꾸준히 높아졌다. 또 소득대비 부채차입 증가액 비율을 전체가구 평균으로 보면 2010년 5.4%에 이르던 것이 2011~2012년 4.8%로 안정세다.
하지만 가계의 이런 부채축소(디레버리징)가 계속 진행되면 소비 감소에 따른 경기 부진을 심화시키면서 자산가격 하락과 부채의 추가적 감소 등 경기침체의 악순환을 야기할 수 있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특히 가구주의 나이가 60살 이상이거나 소득 하위 20%(1분위)에 해당하는 계층에서는 과도한 차입에 따른 원리금 상환부담으로 적자에 허덕이는 가구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더 높아 이들에 대한 소득여건 개선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황상필 팀장은 “60살 이상 가구의 경우 소득여건 개선이 어려울 경우 우리경제의 소비활력을 저하시키고 궁극적으로 성장잠재력을 약화시킬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박순빈 선임기자 sbpark@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보수 성향 대구에서도 사제들 100여명 첫 시국선언
■ 안철수의 ‘영입 1호’ 최장집 교수 사퇴 배경 놓고 뒷말 무성
■ 세법 개정안에 중산층 등 돌릴라…박 대통령, 나흘만에 ‘후퇴’
■ “뇌물 가로챘다” 자백한 뒤 한강 투신 실종
■ [화보] ‘피서’ 대신 ‘촛불’ 든 10만 시민 “박 대통령 사과하라”
■ 보수 성향 대구에서도 사제들 100여명 첫 시국선언
■ 안철수의 ‘영입 1호’ 최장집 교수 사퇴 배경 놓고 뒷말 무성
■ 세법 개정안에 중산층 등 돌릴라…박 대통령, 나흘만에 ‘후퇴’
■ “뇌물 가로챘다” 자백한 뒤 한강 투신 실종
■ [화보] ‘피서’ 대신 ‘촛불’ 든 10만 시민 “박 대통령 사과하라”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