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91.29%…작년보다 1.74%p↓
대규모 제조업체의 국내 공장 가동률이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29일 대기업 전문 사이트인 재벌닷컴이 매출 상위 30대 제조업체의 올해 상반기 국내 공장 가동률을 조사했더니, 평균 가동률은 91.29%로 지난해 같은 기간(93.03%)보다 1.74%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상반기 공장 가동률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2011년 말 92.49%에서 지난해 상반기 93%대로 상승했던 공장 가동률은 하반기부터 하락세로 돌아서 지난해 말 92.97%로 낮아졌다가 올 상반기에 91%대로 떨어졌다. 가동률이 하락한 19곳 중 15곳은 올해 매출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나 경기 부진에 따른 주문량 감소가 가동률 하락의 주요 원인인 것으로 풀이된다.
금융위기 이후 경기회복을 이끌었던 자동차·화학·정유를 비롯해 기계와 철강 업체의 가동률 하락이 두드러졌다. 두산인프라코어는 국내 5개 공장의 평균 가동률이 90.6%에서 68.5%로 22.1%포인트, 현대자동차는 매출 감소와 파업사태 등이 겹치면서 104.8%에서 97.8%로 7%포인트 떨어졌다.
현대오일뱅크와 지에스(GS)칼텍스, 에쓰-오일 등 정유업체의 가동률 하락폭도 컸다. 시장점유율 1위인 에스케이(SK)에너지는 4대 정유회사 중 유일하게 가동률이 77.1%에서 80.2%로 3.1%포인트 높아졌다.
연관 산업의 영향을 크게 받는 철강 업체들의 가동률도 곤두박질쳤다. 포스코는 가동률(조강 기준)이 지난해 100.6%에서 올해 93.9%로 6.7%포인트, 현대제철도 90.3%에서 80.5%로 9.8%포인트 떨어졌다.
반면 호실적을 보이고 있는 반도체·디스플레이·모바일 분야의 전자 업체들은 상승세를 이어갔다. 삼성전자는 올해 상반기 공장 가동률을 지난해 92.2%에서 94.6%로 높였고, 엘지(LG)전자는 77.3%에서 86.4%로 9.1%포인트 올렸다.
금융위기 이후 주문량 감소로 장기 부진에 빠졌던 조선 업체들도 올해 가동률을 큰 폭으로 높였다. 대우조선해양은 올해 상반기 가동률이 92.6%에서 113.8%로 21.2%포인트 뛰어 조사대상 제조업체 가운데 상승폭이 가장 컸다.
홍대선 기자 hongd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