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사·광양제철소 등 예고없이
‘정준양 회장 거취 관련’ 관측도
포스코쪽 확대 해석 경계
‘정준양 회장 거취 관련’ 관측도
포스코쪽 확대 해석 경계
국세청이 포스코에 대해 예고없이 세무조사에 들어가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3일 국세청과 철강업계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국세청은 이날 오전 포스코의 경북 포항 본사와 전남 광양제철소, 서울 대치동 포스코센터에 조사인력을 대거 투입해 회계장부를 확보하는 등 현장조사에 들어갔다. 국세청 조사팀은 재무관련 부서 외에 일부 임원 사무실에도 자료 제출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포스코는 지난 2005년과 2010년 등 5년 단위로 정기 세무조사를 받은 바 있어 이번에는 특별 세무조사를 받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때문에 철강업계에선 이번 세무조사가 정준양 포스코 회장의 거취와 관련이 있지 않느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정준양 회장은 이명박 정부 시절인 2009년 포스코 회장에 취임한 뒤 지난해 2월 재선임돼 2015년 3월까지 임기를 남겨두고 있으나, 박근혜 정부 출범 뒤 퇴진 압박을 받고 있다는 소문이 끊이질 않고 있다.
이에 대해 포스코 쪽은 “3년 터울로 정기조사가 나올 때도 있고 국세청 직원들이 정기조사라 얘기한 만큼 이번 조사는 정기 조사로 알고 있다. 정 회장의 거취에 대해 업계 일각에서 나오는 얘기는 낭설일 뿐이고 세무조사와 연결하는 것도 적절치 않다”고 말해, 확대 해석을 애써 경계하는 반응을 보였다. 하지만 이름 밝히길 꺼린 국세청의 한 간부는 “예고도 없이 현장에 나가는 조사 방식이나 조사 범위 등으로 미뤄 일반적인 세무조사로 보기 힘들다. 올해 들어 대기업 세무조사를 강화하고 있지만 정기 세무조사라면 본사만을 상대로, 그것도 준비할 수 있도록 미리 알려주고 현장에 들어간다”며, 포스코에 대한 세무조사가 심상치 않은 파장을 불러 일으킬 것으로 예상했다.
정부 지분이 전혀 없는 포스코에서는 지난 2009년 초 당시 이구택 회장도 이명박 정부의 퇴진 압력설에 시달리며 임기 1년여를 남겨두고 스스로 물러난 바 있다. 당시 이 회장이 퇴진하기 전에도 포스코 포항제철소와 일부 계열사들이 특별 세무조사를 받아 홍역을 치른 바 있다.
박순빈 선임기자, 이완 기자 sbpar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