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용 금융위원회 민간위원장(오른쪽)과 신제윤 금융위원회 위원장이 12월31일 오전 서울 중구 태평로 금융위원회에서 우리금융 계열의 경남은행과 광주은행 매각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회의장으로 들어서고 있다. 뉴스1
경남은행은 BS금융, 광주은행은 JB금융 우선협상자 선정
올해 7월께 본계약 체결 예정
‘지방은행의 지역환원’ 무산 후유증
경남도, 금고계약 해지 등 반발
남은 6개 계열사 하반기 매각 예상
올해 7월께 본계약 체결 예정
‘지방은행의 지역환원’ 무산 후유증
경남도, 금고계약 해지 등 반발
남은 6개 계열사 하반기 매각 예상
우리금융 계열인 경남은행과 광주은행을 인수할 우선협상대상자에 부산을 기반으로 한 비에스(BS)금융과 전북 기반인 제이비(JB)금융이 각각 선정됐다. 이로써 매각을 추진중인 우리금융 자회사 14개사 중 8곳의 우선협상대상자가 정해졌다.
금융위원회 공적자금관리위원회(공자위)는 경남은행과 광주은행 매각과 관련해 입찰 참여자의 제안 내용을 최종 평가한 결과, 비에스금융지주를 경남은행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제이비금융지주를 광주은행의 우선협상대상자로 각각 선정했다고 31일 밝혔다. 경남은행의 차순위 협상대상자로는 기업은행이 선정됐다. 광주은행의 경우 나머지 입찰자들이 제시한 가격이 예정가격을 밑돌아 차순위 협상대상자가 나오지 않았다. 우선협상대상자는 1월 중 양해각서를 맺은 뒤 5주간의 실사와 실무 협상을 거쳐 올 7월께 본계약 절차를 밟게 된다.
이번 지방은행 인수전을 가른 최대 변수는 최고 입찰가였다. 경남은행 인수전에서 1조2000억원가량을 희망 가격으로 제시한 비에스금융은 경남·울산 지역 상공인, 디지비(DGB)금융, 엠비케이(MBK)파트너스 등이 참여한 ‘경은사랑 컨소시엄’과 경쟁을 벌인 끝에 낙점됐다. 비에스금융은 입찰 프레젠테이션에서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의 ‘투뱅크 체제’를 유지하고, 자회사 편입을 위한 최소 지분(30%) 외에 잔여 지분은 지역 상공인에게 환원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광주은행은 5000억원가량을 제시한 제이비금융이 비에스금융과 신한금융을 제쳤다. 제이비금융은 “투뱅크 체제를 유지하면서 100% 고용 승계, 이익 대비 지역사회 환원율(10%) 유지 등으로 지역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번 인수전은 ‘지방은행의 지역환원’ 명분을 앞세운 지역 상공인과 노조, 정치권의 압박이 거셌던 터여서, 탈락한 입찰 참여자들의 반발 등 후유증이 적잖을 것으로 예상된다. 경남도는 이날 경남은행 매각 우선협상대상자에 비에스금융이 선정된 데 반발해 경남은행과의 금고 계약 해지 절차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경은사랑 컨소시엄은 경남은행 거래 정지 운동에 돌입하기로 했다. 여기에 경남지역 국회의원들이 가세할 경우 우리금융 매각 관련 조세특례제한법이 무산될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우리금융지주가 경남·광주은행 매각 과정에서 내야 할 6000억원 남짓의 세금을 덜어주는 이 법이 통과되지 않으면 우리금융 매각 일정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
이런 반발에 대해 정부는 “원칙에 따라 결정했다”는 입장이다. 공자위 관계자는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 빠른 민영화, 국내 금융산업의 바람직한 발전이라는 우리금융 매각 3대 원칙과 최고가 원칙을 근간으로 하면서 지역발전 기여 가능성을 평가 요소에 반영했다”고 말했다. 신제윤 금융위원장은 이날 공자위 회의에 참석해 “우리금융 8개사의 매각이 어느 정도 마무리됐으니 남은 절차도 잘 마무리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앞서 우선협상대상자가 정해진 우리투자증권 패키지와 경남·광주은행이 우리금융지주에서 분리되면 우리은행을 비롯해 우리카드·우리프라이빗에퀴티(PE)·우리에프아이에스(FIS)·우리종합금융·우리금융경영연구소 등 은행 계열 6개 자회사만 남게 된다. 정부는 올 3월까지 우리은행의 매각 시기와 방법을 정한 뒤 하반기에 매각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홍대선 기자, 울산/신동명 기자 hongd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