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리후생비 평균 187만원 깎기로
기관들 ‘인력감축’ 이어질까 촉각
기관들 ‘인력감축’ 이어질까 촉각
산업통상자원부가 공공기관 정상화 대책의 2단계 조처로 방만한 인력 운용을 개혁하는 방안을 내놓도록 산하 공공기관에 주문했다. 산하 공공기관들이 1인당 복리후생비를 지난해보다 평균 187만원 줄이는 등 방만경영 정상화 계획에 대한 이행 실적도 매달 점검할 방침이다.
산업부는 6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윤상직 장관 주재로 산하 41개 공공기관장과 감사가 참석한 가운데 워크숍을 열어 ‘공공기관 생산성 향상 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이 날 윤 장관은 “유휴인력의 최소화 및 현장 중심의 인력 재배치 등 이 달 중으로 각 기관별 생산성 향상 대책을 마련해달라”고 밝혔다.
공공기관에 대한 감시·감독의 정상화 대책을 마련한 데서 그치지 않고 계속 이어나가겠다는 뜻이다. 한국전력공사는 이런 대책의 일환으로, 정년퇴직 대기인력(57~60살) 381명이 유휴인력이 되지 않도록 직무개발과 경력활용 등에 나서는 방안을 제시했다. 일부 공공기관들은 생산성 향상 대책이 자칫 인력감축으로 이어질까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산업부는 또 이미 제출한 부채감축 및 방만경영 정상화 계획이 실행에 옮겨지도록, 이 달부터 12월까지 매달 실적을 점검하고 8월에는 중간 실적 보고회를 개최하기로 했다. 한국전력공사와 석유공사 등 11개 에너지 공기업은 2017년까지 부채를 당초 게획에 견줘 18조8000억원 더 줄이기로 했다. 이와 함께 16개 중점관리 대상기관은 올해 1인당 복리후생비가 298만원으로 지난해(485만원)에 비해 187만원 깎일 예정이다. 기관 전체로는 지난해보다 1000억원 가량이 줄어드는 셈이다. 선택적 복지 축소 등으로 약 317억원, 학자금 지원 축소 등으로 약 314억원 가량에 해당하는 혜택이 없어지게 된다.
16개 중점관리 대상기관은 11개 에너지 공기업에다 강원랜드, 가스기술공사, 한전기술, 지역난방공사, 무역보험공사 등이 포함됐다. 하지만 방만경영 정상화 계획에 대해서는 노사합의를 거치지 않은 상태여서 추후 협상 과정에서 이를 둘러싼 갈등이 본격화할 전망이다.
황보연 기자 whyno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