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워커즈코프 이사장 후지타 도루
경제와 사람
일본 워커즈코프 센터사업단 이사장 후지타 도루
일본 워커즈코프 센터사업단 이사장 후지타 도루
실업자 운동에서 처음 시작해
병원 청소·물류배송 사업 해오다
노인·아동 돌봄 서비스 중심으로 공동으로 출자해 1인1표 행사
노동조건도 노동자 스스로 결정
“이용자나 노동자 모두가 함께
더 좋은 사회 만들어 가는
사회연대경영이 우리의 목표” 워커즈 코프는 처음에는 병원 청소와 물류 배송 사업을 했다. 지금은 노인과 아동 등을 대상으로 한 돌봄 서비스가 중심이다. 일본은 한국의 노인장기요양보험과 비슷한 ‘개호(간병) 보험’ 서비스를 2000년부터 시작했는데 이 시장을 민간에도 개방했다.“처음엔 공공서비스를 늘리기 위한 취지였는데, 고이즈미 내각이 들어선 뒤 규제 완화가 시작되면서 대거 민간에 위탁됐습니다. 영리사업자들에 의해 공공서비스가 시장화되도록 놔둘 수 없었어요. 돌봄 같은 공공서비스를 ‘시민화’하자는 취지로 참여했습니다.” 2010년 기준 연매출은 2700억원 정도다. 일반 조합원 1만2천여명, 고령자 조합원 4만2천여명 등 5만명이 넘는 사람들이 함께 일자리를 만들어간다. 워커즈코프는 각종 복지시설 관리자를 지정해 3~5년 위탁하는 지정관리자제도를 통한 시설위탁사업에서 점유율이 높은 편이다. 최근엔 장애아 관련 쉼터 운영이 늘고 있다. 노인복지센터 등도 위탁받아 운영한다. 지역사회를 위한 사회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주민들에게는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어주는 일석이조의 구실을 한다. “우리 일자리의 가장 큰 강점은 고용되지 않는 노동을 한다는 것입니다. 노동 조건을 노동자가 스스로 정하거든요. 우리가 표방하는 경영은 사회연대경영입니다. 소비자들을 단지 손님으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이용자나 노동자 모두가 함께 더 좋은 사회를 만들어 가는 경영이죠.” 토루 이사장은 얼마 전 출범한 “한국 노협(대안노동자협동조합연합회)에도 주목하고 있다”며 “협동노동의 의미와 중요성을 계속 확인하라”고 당부했다. “협동조합의 역사를 들여다보면 성과에 집착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지역사회의 과제에 어떻게 대응할지를 생각해야 합니다. 협동노동, 즉 함께 일한다는 것의 중요성을 계속 확인해가면서 활동하면 좋겠습니다.” 글·사진 박기용 기자 xen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