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총저축에서 기업의 비중이 갈수록 늘어나는 반면에 가계의 비중은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을 보면, 지난해 기준 총저축 494조원(2008년 국민계정체계 신기준)에서 금융업을 뺀 기업의 저축액은 281조원으로 전체의 5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가계(비영리단체 포함)의 저축액은 89조원으로 기업의 약 3분의 1 수준인 18%에 그쳤다. 나머지는 금융기업 및 정부 등의 저축액이 차지하고 있다.
여기서 총저축은 통상 은행 예금 등을 뜻하는 저축과는 다른 국민총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되지 않고 남는 부분을 뜻한다. 국민총처분가능소득은 국민총소득에서 국내외 경상이전을 보태고 뺀 것을 말한다.
총저축에서 가계 비중은 외환위기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기업을 크게 앞질렀다.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1975년 가계의 비중은 43%(이하 국민계정체계 구기준)에 이르렀다. 이후 오르내림이 있었지만 외환위기가 닥친 1998년 51%에 이르기까지 상승 추세를 보였다. 반면 총저축에서 기업 비중은 1975년에서 1998년 사이 39%에서 17%로 하락했다. 하지만 외환위기 이후 이런 가계와 기업의 저축 추세가 역전했다. 기업의 저축 증가는 이익이 늘어남에도 투자를 꺼리면서 차입을 줄였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다만 통상 저축으로 부르는 은행 예금을 기준으로 했을 때, 가계 저축이 기업보다 많다. 한은이 발표한 1분기 금융자산부채 잔액표를 기준으로 하면 가계가 예금취급기관에 장단기 저축성예금(비결제성 예금)으로 예치한 돈은 3월말 현재 926조원에 이른다. 반면 비금융기업은 266조원에 그쳤다.
전체 국민경제 틀에서도 가계는 자금의 공급자, 기업은 수요자란 법칙엔 변함이 없다. 2011년 기업의 저축은 190조원이었으나, 투자는 그보다 훨씬 큰 249조원이었다. 그해 기업은 저축으로 부족한 투자 재원(투자-저축)을 금융권을 통해 가계 등에서 빌려 썼다.
류이근 기자 ryuyigeu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