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 점검 465건 문제점 확인
이명박 정부 때 25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만든 4대강 자전거길에서 안전과 관련해 465건의 문제점이 발견됐다.
19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김상희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교통안전공단에서 받은 ‘4대강 자전거길 도로 및 교통 안전 시설 점검 보고서’를 보면, 4대강 자전거길에서 모두 465건의 안전 문제가 확인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강은 109곳에서 253건, 낙동강은 140곳에서 193건, 영산강은 69곳에서 93건, 금강은 74곳에서 79건 등이었다. 이 결과는 교통안전공단이 2012~2013년 4대강 자전거길 803.7㎞에서 교통 안전 시설을 점검한 데 따른 것이다.
안전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보면, 한강 자전거길은 도로 표지판의 잘못된 위치, 배수 불량, 자전거-차량 교차로의 신호 불명확, 1m에 불과한 도로 너비, 위험 구간에 안전 울타리 없음, 내리막길 안내판 없음 등이었다. 낙동강은 자전거-차량 교차로의 안전 시설 부족, 안내 표지판 부족, 위험 구간에 안전 울타리 없음 등이었다.
또 영산강은 자전거-차량 교차로의 안전 시설 부족, 차량 막는 길말뚝의 부적절한 설치, 위험 구간에 안전 울타리가 없거나 짧음이, 금강은 자전거 교차로에 정지선 미설치, 안내 표지판 부족, 위험 구간 안전 울타리가 없거나 짧음이 문제점이었다. 한국수자원공사의 박병현 차장은 “2012년 이후 수공에 접수된 자전거길 사고는 15건”이라고 김 의원실에 밝혔다. 그러나 경찰이나 소방서 등에 접수된 전체 사고 건수는 집계되지 않았다. 김상희 의원은 “정부가 4대강 자전거길 1230㎞를 성과로 적극 홍보하고 있으나, 실제 안전 시설이 없거나 부족해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세종/김규원 기자 che@hani.co.kr
이슈4대강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