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쌀 원산지를 속여 부정 유통시키는 행위가 유전자(DNA) 검사 등 정부의 과학적인 대응으로 된서리를 맞고 있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원장 김대근·이하 농관원)은 9월15일부터 2일까지 특별사법경찰 1100여명을 동원해 쌀 유통량이 많은 서울 등 광역시의 음식점, 쌀 포장시설이 있는 업체, 통신판매업체 등 1만475개 업소에 대해 원산지 표시 단속을 벌인 결과, 46개 업소(0.4%)를 적발했다고 5일 밝혔다. 거짓표시(형사입건) 36건, 미표시 10건(과태료 300만원) 등이었다. 올해 적발건수는 현재 총 259건(거짓표시 229, 미표시 30)이다.
농관원은 “과학적이고 공정한 원산지 판별을 위해 아이시티(ICT)·비티(BT) 기술을 이용한 세계 최고 수준의 유전자 분석법을 개발했다”며 “수입쌀의 국내산 둔갑행위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이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쌀 유전자 분석가능 품종은 국내산 184종, 수입산 136종, 중국산 의무수입물량(MMA) 190종 등 총 510종이다. 2006년 처음 실시한 원산지 판별 건수는 지난 7월까지 604개이다. 이번 단속에서도 원산지 둔갑이 의심되는 쌀 시료 105점을 채취해 유전자를 분석중이다.
농관원은 “농식품을 구매할 때는 원산지를 확인하고 원산지가 표시되지 않았거나 표시된 원산지가 의심되면 전화(1588-8112) 또는 인터넷(www.naqs.go.kr)로 신고해달라”고 당부했다.
김경무 선임기자 kkm100@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