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원 1천명중 7.4명만 임원으로 승진
올해 어느 기업에 대졸신입사원 1천명이 입사한 경우 나중에 부장으로 승진하는 동료는 24.1명이며, ‘기업의 별’로 불리는 임원 자리까지 오르는 동기는 7.4명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2일, 전국 219개 기업을 대상으로 최근 ‘2014년 승진·승급관리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현재의 직급별(신입→대리→과장→차장→부장→임원) 승진율이 유지된다는 가정 아래 신입사원이 부장으로 승진하는 비율은 2.41%, 임원으로 승진하는 비율은 0.74%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1천명 중 임원 승진자 추정치는 2005년 12명에서 2011년(7.9명), 2014년(7.4명)으로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기업규모별로 부장 승진비율과 임원 승진비율을 보면, 대기업은 각각 1.8% 및 0.47%로 2011년(각 2.1% 및 0.56%)에 비해 낮아졌고, 중소기업은 각각 11.5% 및 5.6%로 나타났다.
사무직 대졸 신입사원이 부장 및 임원으로 승진하기까지 실제 걸리는 평균 연수는 각각 17.9년 및 22.1년으로 조사됐다. 반면, 규정상 승진소요연수는 부장까지 15.5년, 임원까지 19.2년으로 실제 승진이 부장은 2.4년, 임원은 2.9년 더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년 60세 의무화 등 최근 노동시장 변화에 따라 승진 및 직급제도를 이미 변경한 기업은 28.4%였고, 향후 변경 계획이 있는 기업은 39.4%였다. 특히 기업들은 승진연한을 대리급 1.9년, 과장 및 차장급 2.1년, 부장급은 2.5년 더 연장하는 것이 적정하다고 답했다. 대기업의 경우 ‘임금피크제 도입(및 고려)’ 비율이 2011년 30.3%에서 2014년 53.1%로, ‘명예퇴직제도 도입(및 고려)’ 비율이 같은 기간에 35.3%에서 58.1%로 크게 증가했다. ‘발탁승진제도 도입(및 고려)’ 비율은 대기업(72.7%)이 중소기업(44.9%)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지난 8월25일부터 9월30일까지 전국 219개 기업(대기업 102개·중소기업 117개; 제조업 125개·비제조업 94개)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조계완 기자 kyew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