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공기업까지 포함한 공공부문 전체 부채가 지난해 한해동안 77조7000억원이 늘어나 지난해말 기준 900조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출자공기업의 배당성향을 2020년까지 현재 20% 수준에서 40% 수준으로 끌어올릴 방침이다.
기획재정부는 19일 재정관리협의회를 열고 공공부문 재정건전성, 정부출자기관에 대한 정부배당정책 방향 등에 대해 논의했다.
기재부 자료를 보면 중앙·지방정부, 중앙·지방공기업을 포함한 공공부문 부채가 지난해 898조7000억원으로 1년 전인 2012년보다 9.5%(77조7000억원) 증가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공공부문 부채는 62.9%로 1년 전(59.6%)보다 3.3%포인트 늘었다.
정부 부채는 565조6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61조원 늘었으며, 이 가운데 중앙정부의 부채 증가분(55조8000억)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공기업 부채는 406조5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17조3000억원 증가했다. 한국전력 및 발전자회사(7조9000억), 한국토지주택공사(3조), 한국철도공사(3조), 한국가스공사(2조2000억) 등에서 부채가 늘었다.
정부는 공공부문 부채가 증가하고 있지만, 국가 간 재정건전성 비교 기준이 되는 일반정부 부채만 떼어놓을 경우 지디피 대비 39.6%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최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공공부문 부채로도 오이시디 국가 중 7개 국가만이 공공부문 부채를 집계해 정확한 비교는 어렵지만, 주요국과 견주면 양호한 편이라고 강조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확장적 재정정책을 펴다보니 재정건전성의 일시적 악화를 불가피하게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지속적으로 공공부문 부채를 줄여나가려는 노력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또한 한국전력공사와 토지주택공사(LH), 기업은행 등 정부출자 공기업 37곳의 배당성향을 2020년 40%까지 상향 조정하는 중기 목표를 제시했다. 배당성향이란 당기순이익 가운데 현금으로 지급된 배당금 총액의 비율이다. 당기순이익 100억원 가운데 배당금으로 20억원이 지급됐다면 배당성향은 20%가 된다. 정부는 올해 21.5%인 출자기관 배당성향을 내년 25.0%, 2017년 31.0%, 2019년 37.0%, 2020년 40.0%로 단계적으로 높이기로 했다.
정부가 이번에 배당성향을 조정하는 것은 세수 부족 등 재정 여건이 어려운 상황에서 세외수입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데도 오히려 정부의 출자 수입은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또 이번 조정으로 민간상장기업 배당성향의 상향 조정도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세종/김소연 기자
dand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