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만136건…노원·강남3구 순 많아
“전세가 상승·재건축 규제 푼 탓”
“전세가 상승·재건축 규제 푼 탓”
지난해 서울의 아파트 거래량이 2006년 이후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형 아파트가 많은 노원구와 재건축 단지가 많은 강남 쪽의 거래량이 많은 편이었다.
2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 사이트를 보면, 지난해 서울 아파트의 거래량은 모두 9만136건으로 아파트 가격이 최고 수준을 기록한 노무현 정부 시절 2006년의 13만7216건 이후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 거래량 6만6260건보다 2만3876건(36.0%) 늘어났다.
지난해 거래량이 가장 많았던 지역은 노원구로 총 8700건이었다. 노원구는 소형 아파트가 밀집돼 있어 실수요자와 임대사업자의 거래가 많은 곳이다. 그 다음으로는 강남구가 6305건, 송파구가 5832건, 서초구가 5029건이었다. 서울 동남 지역 3개구는 지난해 재건축 연한 단축 등 규제 완화의 영향으로 거래가 는 것으로 보인다. 그밖에 강서구가 4956건, 성북구가 4843건, 강동구가 4578건 등으로 많았다.
월별로는 정부가 ‘9·1 부동산대책’을 발표한 다음달인 10월이 1만853건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3월 9479건, 9월 8763건, 4월 8525건 순서로 많았다.
김규정 엔에이치투자증권 부동산 연구위원은 “지난해는 전세 가격이 계속 오르고 ‘9.1 대책’에서 재건축 규제가 풀리면서 매매량이 늘어났다. 대출 규제를 푼 것도 영향이 있었을 것이다”고 분석했다. 그는 “그러나 주택 가격은 2%대 정도 올라 큰 오름세가 없었다. 올해도 실수요자 위주로 거래되면서 신규 분양이나 일부 지역에서만 오름세가 나타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세종/김규원 기자 ch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