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고소득층의 교육비 지출액이 저소득층의 8배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통계청의 ‘2014년 가계동향’을 보면 지난해 소득 5분위(상위 20%) 가구가 교육비로 쓴 금액은 월평균 52만9400원으로 소득 1분위(하위 20%) 가구 6만6800원의 7.93배에 달했다.
소득 수준별로는 2분위 20만700원, 3분위 27만5700원, 4분위 35만3000원 등이다. 소득이 많을수록 교육비에 많은 비용을 지출하고 있는 셈이다.
소득 5분위와 1분위의 지난해 월평균 소득은 각각 812만9500원, 146만500원이다. 두 집단의 월평균 소비지출은 각각 398만6900원, 125만7100원이다.
교육비(7.93배)는 소비지출의 12개 항목 가운데 고소득층과 저소득층의 씀씀이 차이가 가장 큰 분야다. 교통(5.01배), 오락·문화(4.86배), 의류·신발(4.58배), 기타 상품·서비스(4.37배), 음식·숙박(3.89배) 등은 소득계층별 지출 격차가 큰 항목에 속한다. 반면에 보건(1.81배), 식료품·비주류음료(1.71배), 주거·수도·광열(1.60배),주류·담배(1.40배) 등은 상대적으로 지출 차이가 작았다.
소득에 따라 교육 격차가 크다보니, 부모·자녀 세대 간 계층의 고착화 현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세종/김소연 기자 dand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