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월평균 434만원…0.7% 증가
물가상승분 빼면 사실상 ‘마이너스’
청년실업 늘고 ‘고용의 질’ 나빠진 탓
물가상승분 빼면 사실상 ‘마이너스’
청년실업 늘고 ‘고용의 질’ 나빠진 탓
지난해 20∼30대 가구주 가계의 소득 증가율이 0%대로 떨어져 사상 최저치를 보였다. 50대는 7%대, 60세 이상은 4%대의 증가율을 각각 나타냈다.
4일 통계청 가계동향조사를 보면, 가구주가 39살 이하인 2인 이상 가구의 지난해 월평균 소득은 433만9612원으로 전년보다 0.7%(2만9486원) 늘었다. 이는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3년 이래 가장 낮은 것이다.
39살 이하 가구의 소득은 2013년에는 7.4% 늘었고,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9년에도 2.9% 증가했다. 지난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3%인 점을 고려하면 20∼30대 가구의 소득은 사실상 줄어든 셈이다.
20∼30대 가구의 소득이 정체한 원인으로는 청년실업 증가와 고용의 질 악화가 꼽힌다. 지난해 취업자 수는 53만3000명이나 늘어 12년 만에 증가 폭이 가장 컸는데도 청년 실업률은 9%로 역대 최고치였다. 취업자 수 증가는 청년층보다는 장년층이 주도했다. 50대 취업자 수가 23만9000명, 60살 이상이 20만명 증가하는 동안 15∼29살 취업자는 7만7000명 늘어나는데 그쳤다. 30대 취업자는 2만1000명 감소했다.
취업을 한다 해도 비정규직 등 나쁜 일자리가 많아 소득이 취약할 수밖에 없다. 지난해 청년 취업자 19.5%는 1년 이하의 계약직으로 직장생활을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임진 한국금융연구원 거시·국제금융연구실장은 “청년층 취업이 늦어진 데다 직장을 구하다 지쳐 하향 취업하는 이들이 늘어난 점도 20∼30대 가구의 소득 정체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며 “청년층이 계속해서 질이 낮은 일자리에 머물러 인적자본을 쌓지 못하면 장기적으로 국가 경제에도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말했다.
청년층과 중장년층의 소득 격차는 갈수록 확대되는 모습이다. 20∼30대 가구의 소득 증가율이 0%대에 머무는 동안, 50대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495만7167원으로 7.2%(33만3702원) 늘었다. 40대 가구 소득은 482만2494원으로 2.9%(13만7천400원)의 증가율을 보였다.
세종/김소연 기자 dand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