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AIIB 가입
정부가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에 창립회원국으로 참여하기로 공식 결정한 것은 이 은행이 이끌 아시아지역 인프라 건설 사업에 참여해 우리 기업들이 얻을 수 있는 상당한 경제적 이익을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와 업계에 따르면, 이 은행은 건설·전력·통신분야 등에 걸쳐 우리 기업의 아시아지역 개발사업에 큰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중국으로부터 창립회원국 참여를 요청받은 뒤 정부는 우리 기업의 경제적 실익에 초점을 맞춰 참여 및 출자지분 확보를 적극 검토해온 것으로 알려진다. 기획재정부는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이 본격 운영될 경우 아시아지역에 대형 인프라 건설시장이 열려 우리 기업들의 사업 참여가 확대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기재부 관계자는 “아시아개발은행(ADB) 분석으로는 아시아지역 인프라시설 투자수요는 2020년까지 해마다 7300억달러에 달한다”며 “세계은행이나 아시아개발은행 등 기존 다자개발은행의 아시아지역에 대한 투자자금 공급은 이에 훨씬 못 미치고 있어 시장이 크다”고 강조했다.
“아 투자수요 해마다 7300억달러”
기재부, 큰 시장 열릴것으로 기대 건설·전력·통신분야 큰 기회
당장 출자지분 적정선 정해야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은 건설·토목 인프라뿐 아니라 전력·상하수도·주택·통신까지 포괄하는 통합적인 인프라 건설자금 공급에 나설 전망이다. 그만큼 우리나라 관련 기업들에는 엄청난 경제적 기회를 제공하게 된다. 특히 국내 건설경기가 나쁜 상황에서 이번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 참여는 건설업계에 수익성 높은 대형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임호열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국제협력정책실장은 “우리나라가 건설강국인 만큼 훌륭한 인력과 장비, 시설을 활용해 아시아지역 인프라공급 사업에 진출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말했다. 해외건설협회 정창구 금융지원처장은 “그동안 업계가 국토교통부 등 여러 채널을 통해 우리 정부의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 적극 참여를 요청해왔다”며 “우리 기업의 아시아 인프라공급 사업에 큰 시장이 열리는 셈”이라고 말했다. 우리나라 관련 기업들의 경제적 이익과 관련해 남은 관건은 우리나라가 이 은행 출자지분을 어느 정도 규모로 가질 것이냐다. 일본이 최대 지분(15.7%·2013년말)을 가진 아시아개발은행의 경우 일본 기업들이 유리한 지위에서 아시아개발은행이 펴는 인프라 공사를 많이 수주해왔다. 이에 비춰보면 국가별 참여지분에 따라 자국 기업의 공사 수주 기회가 좌우될 수밖에 없다. 정부는 중국 쪽에 중국이 강한 지배력을 행사하기로 한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 지배구조 문제에 대해 개선을 요구해 상당한 진전이 있었다고 밝혔다. 해외건설협회 등 업계는 국가 재정부담을 무릅쓰더라도 한국 출자지분을 10%(AIIB 총 출자금이 1000억달러일 경우 100억달러)까지 높여주기를 희망해왔다. 지만수 한국금융연구원 거시·국제금융연구실 연구위원은 “애초 중국이 우리나라에 5% 지분을 준다고 한 걸로 알고 있는데, 이걸로는 안 된다. 우리가 (출자금 등을) 더 낸다고 하고, 지분을 최대한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한국이 영향력 확보를 위해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의 부총재 자리나 사무국 유치 등을 요구했다는 얘기도 나오지만, 정부는 부인하고 있다. 조계완 기자, 세종/김소연 기자 dandy@hani.co.kr
기재부, 큰 시장 열릴것으로 기대 건설·전력·통신분야 큰 기회
당장 출자지분 적정선 정해야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은 건설·토목 인프라뿐 아니라 전력·상하수도·주택·통신까지 포괄하는 통합적인 인프라 건설자금 공급에 나설 전망이다. 그만큼 우리나라 관련 기업들에는 엄청난 경제적 기회를 제공하게 된다. 특히 국내 건설경기가 나쁜 상황에서 이번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 참여는 건설업계에 수익성 높은 대형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임호열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국제협력정책실장은 “우리나라가 건설강국인 만큼 훌륭한 인력과 장비, 시설을 활용해 아시아지역 인프라공급 사업에 진출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말했다. 해외건설협회 정창구 금융지원처장은 “그동안 업계가 국토교통부 등 여러 채널을 통해 우리 정부의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 적극 참여를 요청해왔다”며 “우리 기업의 아시아 인프라공급 사업에 큰 시장이 열리는 셈”이라고 말했다. 우리나라 관련 기업들의 경제적 이익과 관련해 남은 관건은 우리나라가 이 은행 출자지분을 어느 정도 규모로 가질 것이냐다. 일본이 최대 지분(15.7%·2013년말)을 가진 아시아개발은행의 경우 일본 기업들이 유리한 지위에서 아시아개발은행이 펴는 인프라 공사를 많이 수주해왔다. 이에 비춰보면 국가별 참여지분에 따라 자국 기업의 공사 수주 기회가 좌우될 수밖에 없다. 정부는 중국 쪽에 중국이 강한 지배력을 행사하기로 한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 지배구조 문제에 대해 개선을 요구해 상당한 진전이 있었다고 밝혔다. 해외건설협회 등 업계는 국가 재정부담을 무릅쓰더라도 한국 출자지분을 10%(AIIB 총 출자금이 1000억달러일 경우 100억달러)까지 높여주기를 희망해왔다. 지만수 한국금융연구원 거시·국제금융연구실 연구위원은 “애초 중국이 우리나라에 5% 지분을 준다고 한 걸로 알고 있는데, 이걸로는 안 된다. 우리가 (출자금 등을) 더 낸다고 하고, 지분을 최대한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한국이 영향력 확보를 위해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의 부총재 자리나 사무국 유치 등을 요구했다는 얘기도 나오지만, 정부는 부인하고 있다. 조계완 기자, 세종/김소연 기자 dand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