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기임원 보수 공개] 전문경영인들
삼성전자 스마트폰 사업을 총괄하는 신종균 아이엠(IM·아이티모바일) 부문 대표이사 사장이 지난해 145억7200만원의 보수를 받아 전문경영인 보수 1위에 올랐다. 전문경영인의 보수가 100억원을 넘어선 것은 처음이다.
‘스마트폰 공헌’ 특별상여 큰 몫
에스케이그룹, 직원 급여 다소 줄고
박성욱 사장 등은 연봉 크게 뛰어
엘지 조준호 사장은 연봉 3천만원↓ 31일 금융감독원의 전자공시 사업보고서를 보면, 삼성전자는 신 사장에게 급여 17억2천여만원, 상여 37억3천여만원, 기타 근로소득 91억1천여만원을 지급했다고 공시했다. 신 사장은 2013년 62억1천여만원에서 보수가 두 배 넘게 뛰었다. 2013년 스마트폰 세계 시장 1위에 오른 공헌을 인정받아 일회성 특별상여를 받은 것이 크게 작용했다. 삼성전자 디에스(부품) 부문장인 권오현 대표이사 부회장은 2013년 67억7천여만원에서 26억여원 많은 93억8천여만원을 받았다. 시이(CE·소비자가전) 부문장인 윤부근 대표이사 사장은 54억9천여만원의 보수를 받고 이상훈 사장도 38억6천여만원을 받았으나 전년에 견줘 1억~4억원 늘어난 수준으로 상대적으로 큰 변동은 없었다. 전문경영인의 보수는 삼성전자가 4대그룹 대표 기업들 가운데서도 압도적 우위를 보여줬다. 그러나 삼성전자 직원 평균 급여는 1억200만원으로 전년과 똑같은 수준이었다. 다른 삼성 계열사 전문경영인도 상대적으로 많은 보수를 받았다. 손석원 삼성토탈 공동 대표이사 사장이 22억7천만원, 제일모직 윤주화 패션부문 대표이사 사장이 16억2천여만원, 삼성생명 김창수 사장이 15억3천여만원, 삼성화재 안민수 사장이 14억2천여만원을 받았다. 삼성증권 김석 사장은 22억4900만원의 보수를 받았다. 현대·기아차그룹에선 현대자동차 김충호 사장과 윤갑한 사장이 전년보다 1억여원 늘어난 10억2천만원과 10억4천여만원의 보수를 각각 받았다. 또 기아자동차 이형근 부회장은 1억여원이 늘어난 16억2천여만원을, 이삼웅 사장은 6억6천여만원이 늘어난 18억5700만원을 받았다. 하지만 두 자동차 회사의 직원의 연간 평균 급여는 9400만원에서 9700만원으로 300만원만 늘었다. 에스케이그룹에선 실적이 뛰어났던 에스케이하이닉스의 박성욱 사장이 2013년 6억9천여만원에서 13억6천여만원으로 갑절쯤 몸값을 높였다. 직원 평균 급여도 연간 5948만원에서 7450만원으로 늘었다. 에스케이이노베이션 김창근 이사회 의장은 17억6천만원의 급여에 10억원의 상여 등을 더해 27억6천여만원을 받았다. 구자영 부회장은 15억1500만원을 받았다. 회사 쪽은 “수감중인 최태원 회장을 대신해 두 사람이 준법경영과 윤리경영 문화 확산 노력과 함께 사업 포트폴리오 재편 리더십을 평가받아 상여를 지급받았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직원 급여는 6700만원에서 6590만원으로 다소 줄었다. 에스케이텔레콤 역시 하성민 사장이 14억5800만원의 보수를 받아 2억여원 몸값을 높였지만, 직원 급여는 1억500만원에서 1억200만원으로 오히려 줄었다. 엘지그룹에선 지주사인 엘지의 조준호 사장이 14억3100만원의 연간 보수를 받았다. 이는 2013년 14억6700만원에서 3천여만원 줄어든 것이다. 직원 급여는 오히려 8060만원에서 8500만원으로 늘어났다. 엘지전자는 정도현 사장이 8억5600만원을 받았다. 직원들의 연간 평균 급여는 6900만원에서 6800만원으로 100만원이 줄었다. 엘지디스플레이는 한상범 사장이 2013년 11억5천여만원에서 14억여원으로 3억원 넘게 늘어났다. 직원 평균 급여는 5100만원에서 5600만원으로 늘었다. 정세라 기자 seraj@hani.co.kr
에스케이그룹, 직원 급여 다소 줄고
박성욱 사장 등은 연봉 크게 뛰어
엘지 조준호 사장은 연봉 3천만원↓ 31일 금융감독원의 전자공시 사업보고서를 보면, 삼성전자는 신 사장에게 급여 17억2천여만원, 상여 37억3천여만원, 기타 근로소득 91억1천여만원을 지급했다고 공시했다. 신 사장은 2013년 62억1천여만원에서 보수가 두 배 넘게 뛰었다. 2013년 스마트폰 세계 시장 1위에 오른 공헌을 인정받아 일회성 특별상여를 받은 것이 크게 작용했다. 삼성전자 디에스(부품) 부문장인 권오현 대표이사 부회장은 2013년 67억7천여만원에서 26억여원 많은 93억8천여만원을 받았다. 시이(CE·소비자가전) 부문장인 윤부근 대표이사 사장은 54억9천여만원의 보수를 받고 이상훈 사장도 38억6천여만원을 받았으나 전년에 견줘 1억~4억원 늘어난 수준으로 상대적으로 큰 변동은 없었다. 전문경영인의 보수는 삼성전자가 4대그룹 대표 기업들 가운데서도 압도적 우위를 보여줬다. 그러나 삼성전자 직원 평균 급여는 1억200만원으로 전년과 똑같은 수준이었다. 다른 삼성 계열사 전문경영인도 상대적으로 많은 보수를 받았다. 손석원 삼성토탈 공동 대표이사 사장이 22억7천만원, 제일모직 윤주화 패션부문 대표이사 사장이 16억2천여만원, 삼성생명 김창수 사장이 15억3천여만원, 삼성화재 안민수 사장이 14억2천여만원을 받았다. 삼성증권 김석 사장은 22억4900만원의 보수를 받았다. 현대·기아차그룹에선 현대자동차 김충호 사장과 윤갑한 사장이 전년보다 1억여원 늘어난 10억2천만원과 10억4천여만원의 보수를 각각 받았다. 또 기아자동차 이형근 부회장은 1억여원이 늘어난 16억2천여만원을, 이삼웅 사장은 6억6천여만원이 늘어난 18억5700만원을 받았다. 하지만 두 자동차 회사의 직원의 연간 평균 급여는 9400만원에서 9700만원으로 300만원만 늘었다. 에스케이그룹에선 실적이 뛰어났던 에스케이하이닉스의 박성욱 사장이 2013년 6억9천여만원에서 13억6천여만원으로 갑절쯤 몸값을 높였다. 직원 평균 급여도 연간 5948만원에서 7450만원으로 늘었다. 에스케이이노베이션 김창근 이사회 의장은 17억6천만원의 급여에 10억원의 상여 등을 더해 27억6천여만원을 받았다. 구자영 부회장은 15억1500만원을 받았다. 회사 쪽은 “수감중인 최태원 회장을 대신해 두 사람이 준법경영과 윤리경영 문화 확산 노력과 함께 사업 포트폴리오 재편 리더십을 평가받아 상여를 지급받았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직원 급여는 6700만원에서 6590만원으로 다소 줄었다. 에스케이텔레콤 역시 하성민 사장이 14억5800만원의 보수를 받아 2억여원 몸값을 높였지만, 직원 급여는 1억500만원에서 1억200만원으로 오히려 줄었다. 엘지그룹에선 지주사인 엘지의 조준호 사장이 14억3100만원의 연간 보수를 받았다. 이는 2013년 14억6700만원에서 3천여만원 줄어든 것이다. 직원 급여는 오히려 8060만원에서 8500만원으로 늘어났다. 엘지전자는 정도현 사장이 8억5600만원을 받았다. 직원들의 연간 평균 급여는 6900만원에서 6800만원으로 100만원이 줄었다. 엘지디스플레이는 한상범 사장이 2013년 11억5천여만원에서 14억여원으로 3억원 넘게 늘어났다. 직원 평균 급여는 5100만원에서 5600만원으로 늘었다. 정세라 기자 seraj@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