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총재 “가계대출 증가세 빨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15일 본회의를 열어 기준금리를 연 1.75%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기준금리가 동결된 이날 코스피는 전날보다 13.83(0.65%포인트) 내린 2106.50에 거래를 마쳤고, 금융투자협회가 집계한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날보다 0.024%포인트 오른 연 1.881%로 장을 마감했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이날 금통위 회의 뒤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최근 자산시장이 회복되고 있고 소비심리가 개선되면서 경기 개선 신호가 나타나고 있다. 이런 흐름이 지속될 것인지 여부를 좀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기준금리 동결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이 총재는 “최근 가계대출 증가세가 더 확대되고 있다는 점과 국제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크게 증대되고 있다는 점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고 말했다. 지난달에 이어 이번에도 금통위원 7명 가운데 6명이 기준금리 동결, 1명은 추가 인하 의견을 냈다.
이 총재는 “내수 지표들이 월별로는 큰 등락을 보였지만 4월 소비와 투자 관련 지표는 긍정적인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며 “지난달 우리 경제가 완만한 회복세로 갈 것이라는 전망을 했는데, 이후 한달간 실제 경제를 모니터링한 내용이 이와 부합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밝혔다. 최근 수출과 고용률이 하락했지만, 소비심리와 투자가 개선되고 실업률도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해 기준금리를 추가로 낮출 필요는 없다는 판단이다.
최근 국내 채권 금리가 급등락을 반복한 것과 관련해, 이 총재는 “국외 금리 상승으로 국내 금리가 급등해 시장 불안정성이 심화하면 공개시장조작 등을 통해 시장 안정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또 그는 “국제 금융시장 변동성이 두드러질 가능성은 충분히 잠재돼 있다고 본다. 상당히 유의해야 하는 때가 이미 됐다고 보인다”고도 말했다.
가계부채 부실화 우려를 묻는 질문에 대해선, 현재 가계부채 규모가 감당할 수 없는 정도는 아니라고 진단하면서도 올해 가계대출 증가세가 쉽게 꺾이지 않을 것으로 우려했다. 그는 “최근 가계부채가 늘어나는 속도는 상당히 빠르다고 판단하고 있다”며 “올해를 내다보면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한 가계대출 증가세가 쉽게 꺾일 것 같다는 생각은 안 든다”고 말했다.
향후 추가적인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해, 이 총재는 “앞으로 나올 경제지표와 여러 가지 위험요인, 금융시장 등에 어떤 영향을 줄지를 고려해 종합적으로 판단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경기 회복을 위해서는 통화정책뿐 아니라 정부 재정정책의 적극적 역할과 경제구조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재차 강조했다. 이 총재는 “올해도 정부의 성장률 전망치와 실제 성장 사이에 괴리가 있을 것으로 보여 세수 부족 가능성이 있다. 세수 부족분이 커지면 우리 경제에 분명히 악영향을 준다”고 지적했다.
홍석재 기자 forchi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