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정 이견에 구체규모 발표 못해
정부는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로 4조원가량의 경제적 손실이 예상된다며 최소 10조원 이상의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편성하기로 했다. 하지만 정부는 추경 효과를 반영해 올해 3.1% 성장이 가능하다고 해놓고, 새누리당과의 당정협의에서 추경 규모에 대한 이견을 좁히지 못해 정확한 추경 규모를 발표하지 못했다. 대신 추경을 포함해 15조원 이상의 재정을 투입해 경제 살리기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5일 “올 2분기에 1% 성장을 기대했지만, 메르스로 어려울 것 같다”며 “그렇게 되면 6분기 연속 0%대 저성장이 고착화될 우려가 있어 신속히 대응책을 마련하게 됐다”며 “추경은 메르스·가뭄 대책과 청년고용, 수출 부진을 개선하는 데 쓰일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메르스 여파로 경제성장률이 0.2~0.3%포인트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내총생산(GDP) 규모로 따지면 경제손실이 3조~4.5조원가량 된다는 뜻이다. 이찬우 기재부 경제정책국장은 “추경을 하지 않으면 성장률이 2%대에 머물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해 예산을 짤 때 올해 4.0% 성장할 것이라고 봤으나, 실제 성장률은 이에 크게 못 미쳐 올해 세수 부족도 수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최경환 부총리는 언론사 경제부장 간담회에서 “추경 규모는 세입 경정(세수 결손 보전)을 포함해 10조원 이상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세입 경정 5조원, 세출 경정 5조원+알파’ 등 10조원 이상의 추경 편성 규모를 당정협의 전에 여당에 제출했다. 추경 규모는 애초 이날 밝힐 예정이었으나, 여당에서 추경을 어디에 쓸지 세부사업을 낸 뒤 결정하는 것이 순서라고 주장하면서 뒤로 미뤄졌다. 정부는 다음달 초 구체적인 사업내역이 담긴 추경안을 국회에 낼 예정이다.
세종/김소연 김경락 기자 dand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