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
연 3000만원선 소득자는 소비 줄여
소득 증가때 소비진작 효과 커
연 3000만원선 소득자는 소비 줄여
소득 증가때 소비진작 효과 커
주택값 상승이 소비에 끼치는 영향은 소득증가에 따른 소비진작 효과의 절반을 밑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주택값이 오르면, 주로 연 소득 4500만원을 넘는 고소득층들만 씀씀이를 늘리는 것으로 분석됐다.
2일 코리아크레딧뷰로(KCB)의 최성호 전문연구원과 서울대 김영식 교수(경제학) 등이 한국은행 계간지인 <경제분석> 최근호에 게재한 ‘주택가격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보면, 를 보면, 주택값이 1% 상승할 때 주택소유자들은 소비를 0.0649% 늘리는 것으로 추정됐다. 반면 같은 조건에서 소득이 1% 늘어날 때, 소비는 0.141%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값의 소비 탄력성이 소득 증가와 견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이다.
주택값이 오르더라도 씀씀이를 늘리는 것은 주로 고소득층에 집중됐다. 소득층을 구간별로 나눌 경우, 연 소득 4570만원 이상 주택소유자들은 주택값이 1%오르면 소비를 0.0521% 늘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4570만원 이상 소득층에서는 나이와 상관없이 모든 연령대에서 비슷하게 소비를 늘리는 것으로 추정됐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하지만 연 3260만~4570만원 구간의 주택소유자들은 같은 조건에서 소비 증가폭이 0.00456%으로 극히 적었고, 2540만~3260만원 소득자들은 집값이 오르면 오히려 0.0163% 소비를 줄이는 것으로 분석됐다.
나이대별로 주택값 상승에 따른 소비 태도도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집값이 1% 상승할 때, 50대 이상 주택소유자들은 0.1~0.2%대까지 소비를 늘렸다. 반면 35~50살 사이 연령층은 소비증가폭이 0.008~0.084%에 불과한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결혼적령기(31~35살) 층에서는 주택값이 오르면 오히려 소비를 0.03%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높은 연령대들은 집을 옮기는 과정에서 주택값 상승분이 소득으로 실현될 수 있지만, 젊은층에서 미래에 가족 증가 등을 대비해 소비보다 저축을 하는 성향을 나타내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또 주택담보인정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 같은 대출규제가 완화될수록, 부채 상환 부담이 커지면서 주택값 상승에 따른 소비진작 효과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이번 조사는 지난 2008년부터 2014년까지 실거주 목적 주택과 주택담보대출을 동시에 보유한 13만명을 대상으로 했다. 이들이 주택담보대출 대출심사 때 낸 소득증빙자료와 신용정보 전문업체인 코리아크레딧뷰로의 대출·카드 정보 등을 분석했다.
연구팀은 “소비 진작은 자산 상승보다 소득 증가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계층별로도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정부의 주택 규제 완화 정책이 소비 진작으로 이어지기 위해서 계층별로 정책 효과를 면밀히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홍석재 기자 forchi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