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에 손실 은폐 가능성 지적
대우조선·현대엔지니어링 등 거론
금감원 “모든 기업 감리 권한 없다”
대우조선·현대엔지니어링 등 거론
금감원 “모든 기업 감리 권한 없다”
시민단체 경제개혁연대가 최근 분식회계 의혹이 불거져 나온 대우조선해양과 현대엔지니어링을 비롯한 조선과 건설업 전반에 대해 금융당국이 특별감리에 나서라고 촉구했다.
경제개혁연대는 27일 논평을 내어 “건설과 조선업 불황이 장기화하고 있어, 이 업종 기업들이 외국 사업장을 중심으로 장기공사계약과 예상손실 인식 시점에 대한 회계 처리상 재량을 이용해 대규모 손실을 은폐할 수 있는 가능성이 상당하다”고 짚으며, 특별감리 필요성을 제기했다. 조선이나 건설업 기업들이 갑자기 거금의 손실을 실적에 반영해 ‘어닝쇼크(예상 밖 실적 하락)’를 일으키는 건 시장 불안 요소이며, 이에 대해 금융당국이 특별한 제재를 하지 않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는 얘기다.
앞서 대우조선해양은 그동안 실적에 반영하지 않은 손실이 최대 3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런 누적 손실이 재무제표에 반영될 올해 2분기엔 대규모 적자가 불가피하다. 지난 7월1일 대우조선해양 주가는 1만4150원(종가 기준)이었으나 손실을 숨겨 온 사실이 드러난 이후인 20일엔 주가가 7450원까지 떨어졌다.
경제개혁연대는 “대우조선해양뿐 아니라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도 최근 들어 대규모 손실을 (실적에) 반영하면서 회계 처리가 논란이 돼 조선업 전체의 시장 신뢰가 곤두박질쳤다”고 분석했다.
현대자동차그룹 계열사인 현대엔지니어링은 약 2900억원의 손실이 날 것을 지난해 예상했음에도 2014년 결산에서 이러한 손실을 숨긴 정황이 담긴 내부 문서가 드러났다. 회사 쪽은 2014년 결산이 적법하게 이루어졌다고 주장하고 있다. 경제개혁연대는 “현대엔지니어링은 상장회사인 현대건설이 38.62% 지분을 보유한 회사로 2014년 연결감사보고서 기준으로 현대건설 연결총자산의 31%, 연결총당기순이익의 54%를 차지한다”며 “국제회계기준(IFRS)에서는 연결재무제표가 주재무제표이므로 연결회사의 재무 상태에 큰 영향을 미치는 현대엔지니어링 같은 회사는 상장회사의 감리를 담당하는 금융감독원이 직접 감리를 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이날 경제개혁연대 논평에 대해 금융감독원은 “현행 규정상 모든 조선·건설업 기업에 대해 감리를 할 수 있는 권한이 없다”며 “모든 기업을 아무 때나 특별한 이유 없이 감리하면 기업 경영을 위축시키는 결과를 가져오므로 엄격하게 감리 착수 규정을 정해 놓은 것”이라고 밝혔다. 현대엔지니어링 분식회계 의혹에 대해서는 “주시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박현정 김수헌 기자 sara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