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들 영업환경 더 악화될 듯
증권업은 주식 거래 늘어 기대
증권업은 주식 거래 늘어 기대
올해 하반기에도 은행의 수익성 부진이 이어지면서 금융산업이 전체적으로 하강 국면을 벗어나기 어렵다는 전망이 나왔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10일 낸 ‘2015년 하반기 금융산업 전망’ 보고서에서 “각 금융업권별로 순수익을 분석한 결과, 저성장과 저금리에 따라 금융산업 전체 순수익이 감소하는 추세에 들어섰다. 이런 흐름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보고서를 보면, 금융업권 순수익 총합은 2005년 48조원에서 2011년 75조원으로 연평균 7.7%씩 성장했다. 매년 상승하던 순수익은 2014년 70조원으로 줄면서 감소세로 돌아섰다. 2005년 전체 금융업권 순수익의 절반 정도를 차지하던 은행의 비중은 지난해 40% 이하로 급격히 떨어졌다. 금융 위기 이전 두자릿수를 유지하던 자기자본이익률(ROE)도 모든 업권에서 한자릿수로 하락했다.
연구소는 “한마디로 금융업권 전체 먹거리가 줄어들고 있다. 마진율 방어를 위한 금융회사들의 노력은 지속되겠지만 특별한 계기가 마련되지 않는 한 이런 기조가 쉽게 바뀌지 않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연구소는 올해 단행된 두차례 기준금리 인하로 금융권의 수익성을 가늠하는 지표인 순이자마진(NIM·자산단위당 이익률)이 떨어져 핵심이익 증가를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분석했다. 수수료 수익원을 새롭게 발굴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계좌이동제 시행, 외국환업무 규제 완화, 인터넷전문은행 등장으로 은행의 영업이 더욱 험난해질 것이라고 보고서는 예상했다.
비은행 부문의 하반기 실적은 은행보다 양호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증권업은 오랜만에 활기를 되찾은 시장과 개인들의 활발한 참여 때문에 주식거래가 크게 늘어난 상반기 흐름이 하반기까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대출축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카드산업은 카드 사용이 앞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고, 저금리에 따른 자금조달 비용 감소가 수익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소액결제 확대와 가맹점 수수료 인하로 카드수익에서 차지하는 가맹점 수수료 비중은 줄어들 것이라고 봤다.
연구소는 고령화와 저금리 환경에서 앞으로 확대될 자산관리시장이 은행의 새로운 수익원으로 주목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김정필 기자 fermat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