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경협 이뤄져야 통일비용 낮춰”
기업들 관심지역 개성·해주가 1순위
기업들 관심지역 개성·해주가 1순위
대한상공회의소가 10일 광복 70주년을 앞두고 대북 경제협력 모색의 일환으로 “북한의 조선상업회의소와 협력할 수 있는 기회를 찾아보겠다”고 밝혔다. 최근 전국경제인연합회도 ‘평양 연락 사무소’ 추진 의사를 밝혔다.
상의는 “북 조선상업회의소는 세계상공회의소 연맹(WCF)에 참여하기도 하는 만큼 우리 경제계가 협력할 수 있는 기회를 찾아볼 계획”이라며 “원산지 증명 발급 교육과 북한 기업인의 국내기업 시찰, 품질경영컨설팅 등 상의가 갖고 있는 차별적 기능이 실질적 협력사업을 전개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전수봉 대한상의 경제조사본부장은 “남북 경협이 이뤄져야 북한의 경제 수준을 높여 통일 비용을 낮추고 북한 주민의 대남 친밀감을 강화할 수 있다”며 “당국 간 대화와 협상은 물론 민간 차원의 교류 등 다각적이고 구체적인 협력을 시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상의는 국내 500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남북통일 전망과 대응과제’ 조사 결과, 통일 이후 대북 사업을 “적극 추진하겠다’는 응답이 31%가량에 달했다고 밝혔다. “여건이 허용하면 추진한다”고 답한 기업도 56%였다.
국내 기업의 관심 지역으로는 ‘개성·해주 등 경기도 접경지역’(42%)이 1순위로 꼽혔다. 이어 ‘평양·남포 등 북한 수도권 지역’(28%)과 ‘신의주·황금평 등 중국 접경지역’(11%) 등이 뒤를 이었다. 희망 사업 분야로는 ‘지하자원 개발’(28%)과‘전기·도로 등 SOC 건설’(22%), ‘생산기지 조성’(22%)이 손에 꼽혔다.
통일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하는 편’(65.1%), ‘적극 공감’(28.2%)이라는 응답이 ‘공감하지 않는다’(6.7%)를 압도했다. 통일 동향에 대해서는 ‘제자리걸음’(70%), ‘통일에서 더 멀어지고 있다’(18.7%)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통일 예상 시기로는 “20~30년 내”(35%), ‘10~20년 내’(31.2%)의 차례였다.
곽정수 선임기자 jskwa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