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장 등 중간간부 1300명 대상
전체 사무직 직원의 20% 넘어
“인위적 감원 없다” 방침 뒤집어
노조 “받아들일 수 없다” 통보
전체 사무직 직원의 20% 넘어
“인위적 감원 없다” 방침 뒤집어
노조 “받아들일 수 없다” 통보
1997년 외환위기 불황에도 끄떡 않은 대형 조선업체들에 구조조정 한파가 계속되고 있다. 올해 상반기 3조원이 넘는 손실을 낸 대우조선해양이 사무직 중간관리자들에 대해서도 권고사직·희망퇴직을 통한 인력 감축을 하기로 했다. 올해 초 현대중공업에선 과장급 이상 사무직 직원 6000명 가운데 1100여명, 15년 이상 근무한 여직원 600명 가운데 200여명 등 총 1300여명이 희망퇴직으로 회사를 떠났다. 감원 과정에서 ‘희망퇴직을 가장한 해고’ 논란이 일기도 했다.
대우조선해양은 다음달 말까지 부장·전문위원·수석위원 등 관리자 1300명을 대상으로 권고사직과 희망퇴직을 병행할 예정이라고 12일 밝혔다. 대우조선해양의 사무직 직원은 5천명가량으로, 정확한 감원 규모는 채권단과 협의한 뒤 정해질 것으로 보인다. 부장·전문위원·수석위원 등은 주로 20년차 이상 40·50대다. 회사 방침이 알려지자, 전체 사무직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설계·연구 인력들은 크게 술렁이고 있다. 또 대우조선해양은 2004년부터 사무기술직에 시행해온 임금피크제 대상 폭을 늘리는 등 비용을 더 줄일 계획이다. 현재 만 55살부터 임금 및 성과급 상승률이 정년(만 58살)까지 둔화되는 임금피크제를 시행중이다. 대우조선해양은 “정년이 60살로 늘어나는 데 맞춰, 임금피크제 제외 대상을 축소하는 등 기존 제도를 바꿀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성립 대우조선해양 사장은 취임 이후 인위적인 감원은 없을 것임을 거듭 강조해왔다. 정 사장은 지난 6월 기자간담회에서 “인력 감축으로 고정비가 내려갈진 모르겠지만 직원들의 회사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는 등 눈에 보이지 않는 손실이 생긴다”는 소신을 밝히기도 했다. 그러나 지난 10일 열린 경영설명회에서 위기 극복을 위한 자구책 중 하나로 감원 뜻을 내비친 것으로 전해진다. ‘사람을 줄이는 안’을 통해 위기 극복 의지를 채권단과 외부에 보여줄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대우조선 노동조합은 이날 “부장급에 대한 인위적인 구조조정 방안에 동의할 수 없다. 정 사장이 대표이사로 내정됐을 당시 인력 감축을 하지 않겠다고 노조와 약속한 사항을 지켜야 한다”는 입장을 회사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지난 2분기 1조5천억원대 적자를 낸 삼성중공업은 13일 경남 거제에서 박대영 사장 주재로 경영정상화 대책회의를 연다. 이 자리에서 구조조정 등에 대한 논의가 있을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박현정 기자 sara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