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연내 금리 정상화(인상) 과정이 2013년 신흥국에 긴축발작(테이퍼 탠트럼)을 일으켰던 ‘양적 완화 중단 발언’ 때와 달라 때와 달라, 한국을 포함한 신흥국 시장에 미치는 악영향도 제한적일 것이란 분석이 한국은행에서 나왔다.
과거와 다른 3가지는
양적완화가 정상화하는 과정
완만한 인상 속도 거듭 예고
연준의 ‘부정적 요인 고려’ 약속 인상 단행시 파장은 국제금융시장 불확실성 해소 효과
우량 신흥국엔 경기 긍정적 영향도
일방 인상땐 신흥국 자금 대량유출
중국 불안 겹칠 경우 한국도 영향권 한국은행 뉴욕사무소는 지난 2일 공개한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책 결정이 국제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이번 연준의 금리 인상 추진이 세가지 점에서 과거 테이퍼 탠트럼 때와 다르다고 지적했다. 먼저, 이번 금리 인상은 최근 수년간 전례없는 규모의 양적 완화와 제로 금리가 정상화되는 과정이라는 점, 금리 인상 속도가 완만할 것으로 여러차례 예고된 점, 연준이 이례적으로 미국 경제 뿐 아니라 세계 경제의 부정적 요인까지 고려하겠다고 언급해온 점 등을 들었다. 이에 따라 실제 미 금리 인상이 이뤄져도 한국 등 신흥국이 중장기적으로 입을 타격이 크지 않다고 보고서는 내다봤다. 보고서는 “주가 면에서는, 연준의 금리 인상이 미국과 세계 경기 개선을 전제로 하는 것이고, 인상 시기가 확정되면 국제금융시장에서 불확실성도 줄어드는 만큼 부정적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라며 “과거에도 미 금리 인상이 경기상승 요인으로 작용해 신흥국 주가를 높인 경향이 있다”고 분석했다. 또 “환율 쪽에서도 금리 인상 기대가 달러화 가치에 선반영돼 추가적인 달러 강세는 제한적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 금리 인상이 신흥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 경기 회복이 가시화할 경우, 우량 신흥국을 중심으로 수출과 경기 회복에 긍정적 영향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반면 금리 인상이 달러화 강세로 이어져 국제원자재값이 추가하락 압력을 받을 수 있고, 신용시장에서는 최근 수년간 많은 돈이 풀리면서 발생한 ‘고수익 추구현상’이 안정을 찾아가기까지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은 우려했다. 한은은 미 금리 인상이 예상과 다른 방식으로 전개될 가능성도 대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미 금리 인상이 국제금융시장과 충분한 공감대나 소통없이 진행될 경우, 주요국 금리가 급등하면서 신흥국에서 대규모 자금 유출로 번질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최근 세계은행(WB)은 ‘연준 금리인상이 신흥국에 주는 영향 시나리오’에서, 미 국채금리가 1%포인트(100bp) 상승하고, 뒤이어 주요국 금리까지 1%포인트 상승하면 신흥국 자본 유입이 최대 40%까지 감소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은 바 있다. 이에 따라 보고서는 “미 금리 인상이 다가올수록 국제 투자자금 흐름에 크게 영향을 받는 신흥국과 신용시장의 불안 가능성을 예의주시해야 한다”며 “특히 우리나라는 기초 경제 여건이 양호하지만, 미 금리 인상에 중국 불안이 겹칠 경우 자금 유출이 가시화될 가능성 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미국 기준금리가 1% 인상될 때마다 한국의 18개 주요 은행에서 총액 2조~11조원 규모의 자기자본이 감소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최재성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이 한국은행에서 받은 ‘기준금리 수준 변동에 따른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를 보면, 한은 기준금리가 현행 1.5%인 상황에서 미국 기준금리가 1%포인트 오를 경우, 국내 18개 주요 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최대 0.12%포인트(1조9천억원) 감소할 것으로 추정됐다. 미 금리가 지금보다 2%포인트 오르면 국내 18개 은행 자기자본비율이 0.43%(자기자본은 5조9천억원), 3%포인트 오르면 1.26%(16조8천억원)까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재성 의원은 “연내 미 금리인상에 대비해 은행 자기자본비율과 급격한 외환유출 가능성에 만전의 대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홍석재 기자 forchis@hani.co.kr
완만한 인상 속도 거듭 예고
연준의 ‘부정적 요인 고려’ 약속 인상 단행시 파장은 국제금융시장 불확실성 해소 효과
우량 신흥국엔 경기 긍정적 영향도
일방 인상땐 신흥국 자금 대량유출
중국 불안 겹칠 경우 한국도 영향권 한국은행 뉴욕사무소는 지난 2일 공개한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책 결정이 국제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이번 연준의 금리 인상 추진이 세가지 점에서 과거 테이퍼 탠트럼 때와 다르다고 지적했다. 먼저, 이번 금리 인상은 최근 수년간 전례없는 규모의 양적 완화와 제로 금리가 정상화되는 과정이라는 점, 금리 인상 속도가 완만할 것으로 여러차례 예고된 점, 연준이 이례적으로 미국 경제 뿐 아니라 세계 경제의 부정적 요인까지 고려하겠다고 언급해온 점 등을 들었다. 이에 따라 실제 미 금리 인상이 이뤄져도 한국 등 신흥국이 중장기적으로 입을 타격이 크지 않다고 보고서는 내다봤다. 보고서는 “주가 면에서는, 연준의 금리 인상이 미국과 세계 경기 개선을 전제로 하는 것이고, 인상 시기가 확정되면 국제금융시장에서 불확실성도 줄어드는 만큼 부정적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라며 “과거에도 미 금리 인상이 경기상승 요인으로 작용해 신흥국 주가를 높인 경향이 있다”고 분석했다. 또 “환율 쪽에서도 금리 인상 기대가 달러화 가치에 선반영돼 추가적인 달러 강세는 제한적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 금리 인상이 신흥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 경기 회복이 가시화할 경우, 우량 신흥국을 중심으로 수출과 경기 회복에 긍정적 영향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반면 금리 인상이 달러화 강세로 이어져 국제원자재값이 추가하락 압력을 받을 수 있고, 신용시장에서는 최근 수년간 많은 돈이 풀리면서 발생한 ‘고수익 추구현상’이 안정을 찾아가기까지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은 우려했다. 한은은 미 금리 인상이 예상과 다른 방식으로 전개될 가능성도 대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미 금리 인상이 국제금융시장과 충분한 공감대나 소통없이 진행될 경우, 주요국 금리가 급등하면서 신흥국에서 대규모 자금 유출로 번질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최근 세계은행(WB)은 ‘연준 금리인상이 신흥국에 주는 영향 시나리오’에서, 미 국채금리가 1%포인트(100bp) 상승하고, 뒤이어 주요국 금리까지 1%포인트 상승하면 신흥국 자본 유입이 최대 40%까지 감소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은 바 있다. 이에 따라 보고서는 “미 금리 인상이 다가올수록 국제 투자자금 흐름에 크게 영향을 받는 신흥국과 신용시장의 불안 가능성을 예의주시해야 한다”며 “특히 우리나라는 기초 경제 여건이 양호하지만, 미 금리 인상에 중국 불안이 겹칠 경우 자금 유출이 가시화될 가능성 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미국 기준금리가 1% 인상될 때마다 한국의 18개 주요 은행에서 총액 2조~11조원 규모의 자기자본이 감소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최재성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이 한국은행에서 받은 ‘기준금리 수준 변동에 따른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를 보면, 한은 기준금리가 현행 1.5%인 상황에서 미국 기준금리가 1%포인트 오를 경우, 국내 18개 주요 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최대 0.12%포인트(1조9천억원) 감소할 것으로 추정됐다. 미 금리가 지금보다 2%포인트 오르면 국내 18개 은행 자기자본비율이 0.43%(자기자본은 5조9천억원), 3%포인트 오르면 1.26%(16조8천억원)까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재성 의원은 “연내 미 금리인상에 대비해 은행 자기자본비율과 급격한 외환유출 가능성에 만전의 대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홍석재 기자 forchi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