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 요구…타 업종도 가세 예상
무이자 축소·카드론 확대 등 검토
무이자 축소·카드론 확대 등 검토
정부와 새누리당이 지난 2일 연매출 10억원 이하 영세·중소가맹점의 신용카드 수수료를 내리기로 결정한 가운데 대형가맹점들마저 수수료율 인하를 요구하고 나서면서 카드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23일 신용카드 회사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대한항공은 최근 일부 카드사에 공문을 보내 수수료율 인하를 요구했다. 올 여름 메르스 사태의 여파로 항공사들의 수익성이 악화된데다 최근 ‘테러’라는 돌발 변수까지 등장하면서 앞으로의 전망도 밝지 않기 때문이다. ㄱ카드사 관계자는 “지난 2012년 영세상공인의 수수료율을 내리는 대신 대형가맹점의 수수료율이 오르자 대형마트·이동통신사 등이 반발했는데 당시 가장 먼저 수수료 인하를 요구한 곳이 항공사였다”고 말했다.
당정은 내년부터 연매출 2억원 이하 영세 가맹점의 수수료율은 0.8%, 2억원 이상~3억원 이하 중소 가맹점은 1.3% 수준으로 낮추기로 했다. 현재 2.2% 수준인 일반 가맹점 수수료율도 내년부터 1.9%로 조정된다. 이에 따라 현재 평균 1.96% 정도인 대형 가맹점의 수수료율이 가장 높아지게 됐다.
카드사들은 대형 가맹점의 수수료 인하 요구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 ㄴ카드사 관계자는 “ 영세 가맹점 수수료 인하로만 연간 6700억원의 수입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대형 가맹점들의 요구까지 수용할 여유가 없다”며 “항공업계의 요구를 받아들이면 통신사·주유업계·외식업계 등 다른 대형 가맹점의 인하 요구도 빗발칠 것”이라고 말했다.
카드사들은 자구책으로 부가서비스 축소 등을 검토하고 있으나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ㄷ 카드사 관계자는 “금융당국이 부가서비스 의무유지 기간을 3년으로 줄일 수 있도록 했지만 고객이 빠져나갈 수 있어 급격한 축소는 어렵다. ‘무이자 할부’ 같은 프로모션을 줄여가는 정도”라고 말했다. ㄹ카드사 관계자도 “결국 카드론이나 현금서비스로 손실을 메꿀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유선희 기자 duc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