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일자리 증가 5년만에 최저
그나마 초단기직 등 ‘나쁜 일자리’
그나마 초단기직 등 ‘나쁜 일자리’
지난해 청년(15~29살) 실업률이 사상 최고치인 9.2%를 기록했다. 지난 한해 늘어난 일자리 수는 33만7000개로, 2010년(32만3000개) 이후 5년 만에 최저치를 나타냈다. 늘어난 일자리도 단순 노무직이나 초단기 일자리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일자리 문제가 양과 질 모두 개선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통계청이 13일 발표한 ‘2015년 고용 동향’을 보면, 청년 실업률은 1년 전보다 0.2%포인트 오른 9.2%였다. 1999년 관련 통계가 집계된 이후 가장 높다. 청년 실업률은 2012년(7.5%) 이후 4년 연속 높아졌다. 지난 한해 새로 취업한 청년은 모두 6만8000명으로 한해 전(7만7000명)보다 9천명 줄었다. 반면 청년 고용률은 41.8%로 소폭 올랐다.
심원보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청년들이 취업시장에 적극적으로 나오면서 고용률과 실업률이 함께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실업률과 고용률의 동반 상승은 구직 활동에 뛰어든 청년이 늘어나는 규모에 비해 실제로 취업에 성공하는 청년은 적었다는 뜻이다.
지난해 전체 취업자는 2953만6000명으로 한해 전보다 33만7000명 늘어나는 데 그쳤다. 2014년 취업자 증가 수는 53만3000명이었다. 지난해 경제성장률(실질)이 2.7%(정부 추정)로 1년 전(3.3%)보다 떨어지는 등 경기가 나빠진 탓이 크다.
일자리 유형별로 보면, 단순노무직(3.9%)이나 주당 노동시간이 17시간이 채 되지 않는 초단기 일자리(3.9%) 증가 폭이 전체 평균(1.3%)을 크게 웃돌았다. 늘어난 일자리도 질 나쁜 일자리가 메웠다는 얘기다. 고용시장의 허리층인 35~44살 취업자 비중도 또다시 떨어졌다.
한편 박근혜 대통령이 대선 공약으로 제시했던 임기 내 고용률(OECD 기준) 70% 달성에도 빨간불이 들어왔다. 정부는 ‘고용률 70% 로드맵’에서 2015년 고용률 달성 목표치를 66.9%로 잡았으나, 실제 고용률은 65.7%에 머물렀다.
세종/김경락 기자 sp96@hani.co.kr
청년 실업률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