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에스케이(SK)그룹 회장이 4일 서울 광진구 광장동 워커힐호텔에서 열린 그룹 신년회에서 인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오너 리스크’에 흔들리는 SK ①
지난해 8·15 특별사면으로 최태원 회장이 경영에 복귀한 뒤 에스케이(SK)그룹 안팎이 뒤숭숭하다. 최 회장의 돌출적인 내연녀·혼외자 고백과 측근 영입 등으로 구설수를 자초하고 있기 때문이다. 총수가 경영에 복귀한 뒤 분란이 더 심해진 에스케이의 ‘오너 리스크’ 문제를 세차례에 걸쳐 살펴본다.
최태원 에스케이(SK)그룹 회장과 십여년 전부터 인연을 맺어오며 펀드 투자를 권유했던 은진혁(48) 전 인텔코리아 사장이 최근 에스케이그룹에 합류했다.
과거 그룹 계열사들이 은씨가 관여했던 펀드에 투자하거나 은씨와 사업 관계를 맺었다가 손해를 본 전력이 있는데다 경영 능력이 검증되지 않은 인물이어서 그의 영입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그룹 안팎에서 나오고 있다.
■ “최 회장에게 펀드 권유”
에스케이그룹은 지난달 그룹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수펙스추구협의회 조직을 개편하면서 김창근 의장 직속으로 통합금융솔루션팀(IFST)을 만들고, 팀장(부사장)으로 은씨를 영입했다. 은씨는 에스케이가 추진하게 될 신규 사업의 외부 자금 조달(펀딩) 업무 등을 총괄할 예정이다.
은씨는 2000년께 재벌 2·3세와 벤처기업인들의 사교 모임 ‘브이-소사이어티’(V-Society)에서 총무로 활동하며 회원이던 최 회장과 만나 인연을 맺었다. 브이-소사이어티는 회원들이 2003년 구속 중이던 최 회장을 선처해달라는 탄원서를 재판부에 제출해 논란이 됐던 모임이다.
사교 모임에서 최 회장과 은씨의 인연은 사업으로 이어졌다. 2005년 맥쿼리가 에스케이이앤에스(SKE&S·당시 에스케이엔론)의 지분 49%를 인수하는 과정에 맥쿼리증권 전무였던 은씨의 역할이 있었다고 한다. 그룹의 한 관계자는 “50 대 50 합작 상대방이었던 엔론이 파산하면서 에스케이엔론이 경영에 어려움이 많았는데, 맥쿼리가 지분 49%를 인수한 뒤 회사가 크게 성장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은씨는 2008년 7월까지 맥쿼리 쪽을 대리해 이 회사에 사내이사로 파견돼 활동했다.
인텔코리아 사장 출신 은진혁씨
통합금융솔루션팀 부사장으로
재벌 2·3세 사교모임 총무로 인연 계열사들, 은씨 근무 헤지펀드에
4차례 수천억 투자한 뒤 잇단 손실
SK “손해본 건 맞지만 은씨완 무관”
은씨쪽 “최회장에게 도움은 줬지만
펀드 운용엔 직접 관여한 바 없다” 2000년대 하반기 글로벌 금융위기가 터질 즈음 은씨는 헤지펀드인 하빈저캐피탈로 자리를 옮겼는데, 그즈음 에스케이 계열사들이 하빈저에 수천억원을 투자했다. 에스케이텔레콤은 2009~2010년 하빈저의 글로벌오퍼튜니티브레이크어웨이 펀드에 2억달러(약 2200억원), 하빈저가 대주주인 미국 이동통신사 라이트스퀘어드에 6000만달러(약 675억원)를 투자했다. 또 에스케이네트웍스와 에스케이이노베이션도 하빈저의 차이나드래곤 펀드에 각각 2억달러(약 2200억원·지분 40%)와 1억달러(약 1100억원)를 투자했다. 하지만 펀드 투자는 손실로 이어졌고, 특히 에스케이텔레콤은 라이트스퀘어드 투자액을 전액 손실 처리해야 했다. 이와 관련해 에스케이 관계자는 “결과적으로 손해를 본 것은 사실이지만, 자세히 따져보면 정부 허가가 안 나오거나 펀드가 조기에 청산됐기 때문이지 은씨와는 무관했다”고 해명했다. ■ 최 회장 내연녀와 연관 의혹도 최근 사회적으로 큰 물의를 빚은 최 회장의 내연녀인 김아무개씨와 은씨가 관계돼 있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은씨가 맥쿼리에서 함께 일했던 부하 직원 최아무개·박아무개·조아무개씨 등은 에스케이이노베이션(옛 에스케이에너지)이 2010년 싱가포르에 설립한 버가야인터내셔널(버가야)로 자리를 옮긴다. 석유 트레이딩 전문성을 키우기 위해 설립된 이 회사에 은씨 또한 자문역으로 경영에 관여했다. 버가야는 최 회장의 내연녀인 김씨에게서 서울 반포2차 아펠바움 아파트를 24억원에 매입한 회사다. 지난해 연말 미국에서 활동하는 언론인 출신 블로거 안치용씨는 김씨가 2008년 에스케이건설로부터 이 아파트를 15억5000만원에 사들였다가 2년 뒤 버가야에 24억원에 팔아 8억~9억원가량의 시세차익을 거뒀다고 폭로한 바 있다. 모회사인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직원들조차 존재를 모를 정도로 알려지지 않은 한 해외 계열사에 은씨와 부하 직원들이 모여들었고, 하필 최 회장의 내연녀로부터 호화 주택을 매입한 것이다. 에스케이는 버가야의 아파트 거래와 관련해 “싱가포르에서 한국으로 출장 오는 버가야인터내셔널 직원들의 숙소용으로 구입한 것”이라고 해명한 바 있다. 하지만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워낙 초호화 주택인데다 물량도 10여채에 불과해 부동산중개업소를 거치지 않고 주인들끼리 알음알음으로 거래가 된다”고 말했다. 버가야 또한 손실을 입은 채 현재 청산 절차를 밟고 있다. 이에 대해 은씨는 에스케이그룹을 통해 “펀드와 관련해 최 회장에게 많은 도움을 줘온 것은 맞다. 하지만 에스케이가 하빈저에 투자하기 시작한 뒤 하빈저에 파트너로 결합했고, 에스케이가 투자한 펀드 운용에 직접 관여한 바 없다. 또 김씨와도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그룹 안팎에서는 은씨를 두고 최 회장을 선물·펀드 투자로 이끌어 구속까지 이르게 한 김준홍 베넥스인베스트먼트 대표, 무속인 출신으로 알려진 김원홍 전 에스케이해운 고문과 비슷한 부류로 보는 시각이 많다. 경영 본업이 아닌 엉뚱한 돈벌이로 최 회장을 현혹시킨 ‘측근’이라는 것이다. 그룹 사정에 밝은 한 관계자는 “김원홍·김준홍·은진혁씨를 가리켜 ‘회장님 측근 3인방’이라고 부르는 이들도 있다”고 전했다. 증권가의 한 애널리스트는 “그룹 주변에서는 은씨 영입을 최 회장이 힘들면 의존하곤 했던 김원홍씨의 빈자리 메우기로 이해하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이순혁 기자 hyuk@hani.co.kr
SK 그룹 관련 은진혁씨 활동
통합금융솔루션팀 부사장으로
재벌 2·3세 사교모임 총무로 인연 계열사들, 은씨 근무 헤지펀드에
4차례 수천억 투자한 뒤 잇단 손실
SK “손해본 건 맞지만 은씨완 무관”
은씨쪽 “최회장에게 도움은 줬지만
펀드 운용엔 직접 관여한 바 없다” 2000년대 하반기 글로벌 금융위기가 터질 즈음 은씨는 헤지펀드인 하빈저캐피탈로 자리를 옮겼는데, 그즈음 에스케이 계열사들이 하빈저에 수천억원을 투자했다. 에스케이텔레콤은 2009~2010년 하빈저의 글로벌오퍼튜니티브레이크어웨이 펀드에 2억달러(약 2200억원), 하빈저가 대주주인 미국 이동통신사 라이트스퀘어드에 6000만달러(약 675억원)를 투자했다. 또 에스케이네트웍스와 에스케이이노베이션도 하빈저의 차이나드래곤 펀드에 각각 2억달러(약 2200억원·지분 40%)와 1억달러(약 1100억원)를 투자했다. 하지만 펀드 투자는 손실로 이어졌고, 특히 에스케이텔레콤은 라이트스퀘어드 투자액을 전액 손실 처리해야 했다. 이와 관련해 에스케이 관계자는 “결과적으로 손해를 본 것은 사실이지만, 자세히 따져보면 정부 허가가 안 나오거나 펀드가 조기에 청산됐기 때문이지 은씨와는 무관했다”고 해명했다. ■ 최 회장 내연녀와 연관 의혹도 최근 사회적으로 큰 물의를 빚은 최 회장의 내연녀인 김아무개씨와 은씨가 관계돼 있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은씨가 맥쿼리에서 함께 일했던 부하 직원 최아무개·박아무개·조아무개씨 등은 에스케이이노베이션(옛 에스케이에너지)이 2010년 싱가포르에 설립한 버가야인터내셔널(버가야)로 자리를 옮긴다. 석유 트레이딩 전문성을 키우기 위해 설립된 이 회사에 은씨 또한 자문역으로 경영에 관여했다. 버가야는 최 회장의 내연녀인 김씨에게서 서울 반포2차 아펠바움 아파트를 24억원에 매입한 회사다. 지난해 연말 미국에서 활동하는 언론인 출신 블로거 안치용씨는 김씨가 2008년 에스케이건설로부터 이 아파트를 15억5000만원에 사들였다가 2년 뒤 버가야에 24억원에 팔아 8억~9억원가량의 시세차익을 거뒀다고 폭로한 바 있다. 모회사인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직원들조차 존재를 모를 정도로 알려지지 않은 한 해외 계열사에 은씨와 부하 직원들이 모여들었고, 하필 최 회장의 내연녀로부터 호화 주택을 매입한 것이다. 에스케이는 버가야의 아파트 거래와 관련해 “싱가포르에서 한국으로 출장 오는 버가야인터내셔널 직원들의 숙소용으로 구입한 것”이라고 해명한 바 있다. 하지만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워낙 초호화 주택인데다 물량도 10여채에 불과해 부동산중개업소를 거치지 않고 주인들끼리 알음알음으로 거래가 된다”고 말했다. 버가야 또한 손실을 입은 채 현재 청산 절차를 밟고 있다. 이에 대해 은씨는 에스케이그룹을 통해 “펀드와 관련해 최 회장에게 많은 도움을 줘온 것은 맞다. 하지만 에스케이가 하빈저에 투자하기 시작한 뒤 하빈저에 파트너로 결합했고, 에스케이가 투자한 펀드 운용에 직접 관여한 바 없다. 또 김씨와도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그룹 안팎에서는 은씨를 두고 최 회장을 선물·펀드 투자로 이끌어 구속까지 이르게 한 김준홍 베넥스인베스트먼트 대표, 무속인 출신으로 알려진 김원홍 전 에스케이해운 고문과 비슷한 부류로 보는 시각이 많다. 경영 본업이 아닌 엉뚱한 돈벌이로 최 회장을 현혹시킨 ‘측근’이라는 것이다. 그룹 사정에 밝은 한 관계자는 “김원홍·김준홍·은진혁씨를 가리켜 ‘회장님 측근 3인방’이라고 부르는 이들도 있다”고 전했다. 증권가의 한 애널리스트는 “그룹 주변에서는 은씨 영입을 최 회장이 힘들면 의존하곤 했던 김원홍씨의 빈자리 메우기로 이해하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이순혁 기자 hyu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