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허가 물량 4만7536채…작년 12월보다 52% 감소
“작년 9월 이후 진정세” vs “아직 진정 국면 아냐”
“작년 9월 이후 진정세” vs “아직 진정 국면 아냐”
올해 1월의 주택 인허가 물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3% 늘고 지난달보다는 52% 줄어 든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과열됐던 주택 공급이 진정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1월의 주택 인허가 실적이 4만7536채로 지난해 같은 달(3만3천채)보다 42.9% 늘어났고, 지난해 12월(9만8천채)보다는 51.6% 줄어들었다고 24일 밝혔다. 올해 1월의 인허가 물량은 지난해 2월(3만3천채) 이후 처음으로 5만채 이하를 기록한 것이다. 주택 인허가는 사업자가 주택을 공급할 때 가장 먼저 추진하는 일로 주택 공급의 추세를 보여주는 지표다. 권혁진 국토부 주택정책과장은 “지난해 과열됐던 주택 공급이 진정되기 시작하는 신호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주택 인허가 물량은 지난해 1~2월 3만채가량이었다가 3~5월 5만채, 6~11월 6~8만채로 급증했으며, 12월에는 무려 9만8천채에 이르렀다. 이런 밀어내기성 과잉 공급으로 미분양이 늘어나고 2~3년 뒤 입주 때는 가격이 크게 떨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왔다.
특히 1월 인허가 물량 가운데는 재건축, 재개발 등 정비 사업 지구가 1만4천채(29.5%) 포함돼 있다. 정비 사업 물량을 제외하면 지난해 1월 인허가 물량(3만1천채)과 비슷한 수준이다.
전문가들의 의견은 갈렸다. 김규정 엔에이치투자증권 부동산연구위원은 “주택 시장의 장기 전망이 불투명하고 아직까지 청약 경쟁률도 좋기 때문에 건설사들이 올해 상반기까지는 밀어내기를 계속할 가능성이 있다. 아직 진정 국면으로 보기 어렵다”고 말했다.
반면 채미옥 한국감정원 부동산연구원장은 “지난해 공급이 과잉돼 우려가 컸기 때문에 인허가 물량이 이미 지난해 9월 이후 진정되는 추세에 있다. 2월 이후의 인허가 건수를 보면 좀더 명확히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주택 인허가 건수는 76만5천채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으며, 정부는 연 50만채가량을 적정한 인허가 수준으로 보고 있다.
김규원 기자 ch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