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GNI 2만7340달러, 2014년 견줘 2.6% 감소
10년째 3만달러 벽 못 넘고 ‘목표’로부터 더 멀어져
10년째 3만달러 벽 못 넘고 ‘목표’로부터 더 멀어져
지난해 1인당 국민소득(GNI)이 6년 만에 줄었다. 또 2006년 2만달러를 돌파한 이후 10년째 3만달러 벽을 넘지 못하고 있다.
한국은행은 25일 발표한 ‘2015년 국민 계정’에서 지난해 1인당 국민소득이 2만7340달러로 2014년(2만8071달러)보다 731달러(2.6%) 감소했다고 밝혔다. 1인당 국민소득이 줄어든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9년 이후 6년 만이다. 1인당 국민소득은 명목 국내총생산(GDP)에서 외국인이 국내에서 번 소득을 빼고 내국인이 외국에서 번 돈을 더한 다음 추계 인구수로 나눈 액수다. 지난해 명목 국내총생산은 1조3775억달러(1558조6천억원)로 집계됐다.
한은은 지난해 원-달러 평균 환율이 2014년보다 7.4% 올라 달러로 따진 국민소득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원화 기준 1인당 국민소득은 3093만5천원으로 전년보다 137만원(4.6%) 증가했다.
국민총소득에서 기업과 정부 부문을 빼고 가계 부문의 구매력을 실질적으로 보여주는 1인당 가계총처분가능소득(PGDI)은 1만5524달러로 전년보다 398달러(2.5%) 감소했다. 이 역시 원화로는 1756만5천원으로 79만6천원(4.7%) 증가했다.
지난해 실질 국내총생산은 전년 대비 2.6% 증가했다. 또 국내외에서 번 소득의 실질구매력을 나타내는 실질 국민총소득 증가율은 6.5%로 비교적 높았다. 국제 유가 등 원자재 값이 크게 떨어져 교역 조건이 개선된 영향이 컸다.
이본영 기자 eb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