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14곳, 지난해 4600여명 감소
롯데 8곳 1587명·SK 10곳 318명↓
현대차 10곳·LG 12곳은 늘어
“실적 이유로 고용 줄여 경제 악영향”
롯데 8곳 1587명·SK 10곳 318명↓
현대차 10곳·LG 12곳은 늘어
“실적 이유로 고용 줄여 경제 악영향”
박근혜 정부의 고용촉진 정책에도 삼성·에스케이(SK)·롯데그룹의 임직원 수가 되레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삼성그룹은 전년 대비 임직원 수가 4천여명 줄어든 상황에서 현재도 에스디아이(SDI) 등 구조조정이 진행되는 계열사가 많아 감소 추세가 계속될 전망이다.
31일 <한겨레>가 5대 그룹 주요 상장사의 최근 5년간 임직원 수(기간제 근로자 수 포함) 추이를 살펴봤더니, 삼성전자 등 삼성그룹 주요 상장사 14곳의 지난해 임직원 수는 17만9603명으로 전년(18만4258명)보다 4655명(2.5%)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롯데쇼핑 등 롯데그룹 상장사 8곳의 지난해 임직원 수(4만7387명)도 전년(4만8974명)보다 1587명(3.2%) 줄었다. 에스케이그룹 상장사 10곳 역시 4만2418명으로 전년(4만2466명)보다 318명(0.7%) 감소했다.
반면 현대차·엘지(LG)그룹은 임직원 수가 늘었다. 현대차그룹은 현대차 등 10개 상장사에서 2014년 13만4401명이 일했는데, 2015년에는 13만6874명으로 2473명(1.8%)이 늘었다. 같은 기간 엘지그룹도 엘지전자 등 12개 상장사에서 10만9911명에서 11만1403명으로 1492명(1.4%)이 많아졌다.
그룹별로 보면, 삼성그룹에선 삼성전자가 9만9382명에서 9만6898명으로 2484명 줄었고, 사업부서를 분사한 삼성전기(964명)나 구조조정 중인 삼성에스디아이(287명) 등 전자 계열사가 인력을 줄였다. 또 삼성카드(112명)와 삼성생명(133명) 등 금융 계열사는 물론 적자에 허덕이는 삼성엔지니어링(815명) 등 건설 계열사도 예외는 아니었다. 이러한 감소 추세는 2011년(16만6083명) 이후 2014년(18만4258명)까지 1만8175명이 꾸준히 증가하던 것과 대조를 보인다. 공교롭게도 2014년 5월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심근경색으로 쓰러진 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경영 전면에 나선 시기와 겹친다. 삼성그룹 쪽은 “경영진과 무관하게 휴대전화 사업 부진 등 업황에 따른 자연스러운 결과”라고 말했다.
롯데그룹은 롯데쇼핑이 2014년 2만7880명에서 지난해 2만6030명으로 1850명을 줄인 것이 가장 큰 임직원 감소 요인이었다. 롯데그룹 홍보팀 임원은 “지난해 롯데쇼핑의 시에스(CS)유통을 떼어내 700여명이 줄었고, 온라인 시장 매출 확대로 자연감소 인력을 충원하지 않은 결과”라고 설명했다. 에스케이그룹은 유가 하락의 영향을 받은 에스케이이노베이션이 2014년(1878명) 대비 459명을 줄여 가장 큰 감소를 보였다.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환율 영향으로 주력기업인 현대차의 영업이익이 6조3579억원으로 2014년(7조5500억원)보다 1조1921억원(15.8%)이나 하락했는데도 전체 임직원 수가 증가했다. 현대차가 1448명(2.2%)을 늘린 것을 비롯해 현대제철(510명), 현대모비스(501명) 등도 임직원 증가에 한몫했다. 엘지그룹에서는 엘지화학(657명)과 엘지생활건강(354명), 엘지디스플레이(354명) 등이 12개 상장사 임직원 수 증가(1492명)에 기여했다. 반면 엘지이노텍은 티브이(TV) 부품수요 감소 등의 악재로 465명을 줄였다. 엘지그룹 임원은 “전기차 배터리 등 미래 사업 준비를 위한 연구인력 충원과 엘지생활건강의 중국 등 해외 사업 확장으로 인한 마케팅 인력 확대 등의 결과”라고 설명했다.
5개 그룹의 임직원 수 변화를 종합하면 삼성그룹 등 3개 그룹에서 6560명이 줄어든 반면 현대차·엘지그룹은 3965명을 늘려 총 2595명이 줄었다. 김상조 경제개혁연대 소장(한성대 교수)은 “경영 사정을 이유로 고용을 줄이는 것은 개별 기업 입장에서는 합리적일 수 있지만, 전체 국민경제로 보면 내수 침체 등 악순환의 고리가 될 수 있어 우려스럽다. 박근혜 정부가 2년 넘게 투자와 고용을 늘리려고 규제완화 정책을 추구했는데 이제라도 가계소득을 늘릴 수 있는 방향으로 정책을 써야 한다”고 말했다.
이정훈 기자 ljh9242@hani.co.kr
5대 그룹 주요 상장사 임직원 변화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