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자 965만…20~30대 937만
급속 고령화에 청년 취업난 겹쳐
노후 대비 취약한 베이비붐세대
정년 이후 계속 일하는 탓도
평균 나이도 44.4살로 높아져
급속 고령화에 청년 취업난 겹쳐
노후 대비 취약한 베이비붐세대
정년 이후 계속 일하는 탓도
평균 나이도 44.4살로 높아져
노동시장에서 50살 이상 취업자가 처음으로 20∼30대 취업자 수를 넘어섰다. 고령화 영향으로 50살 이상 인구가 늘어난 것도 원인이지만,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가 정년 이후에도 계속 일을 하고 청년 취업난이 심각한 것도 영향을 끼쳤다. 노동시장이 고령화되면서 한국 노동자들의 평균 나이도 44.4살까지 높아졌다.
31일 통계청 자료를 보면, 지난해 20∼30대 취업자 수는 936만9천명으로 전체 취업자의 36.1%를 차지했다. 50대 이상 취업자 수는 965만5천명(37.2%)으로, 20∼30대 취업자보다 28만6천명 많았다. 50대 이상 취업자 수가 20∼30대를 넘어선 것은 관련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00년 이후 처음이다.
2000년만 해도 20∼30대 취업자(1063만명)는 50대 이상 취업자(486만명)보다 두배 이상 많았다. 전체 취업자의 50.2%가 20∼30대였다. 2011년까지 20∼30대 취업자가 50대 이상보다 100만명 이상 많았으나 그 격차가 계속 줄더니 지난해 역전됐다.
고령화 영향이 가장 컸다. 50살 이상 인구는 최근 15년 동안 788만2천명이나 늘어난 반면 20~30대는 되레 192만2천명이 줄었다. 고령 인구가 늘어나니, 취업자도 고령층 위주로 재편되고 있다. 지난해 전체 취업자는 33만7천명 늘었는데, 60살 이상 취업자 증가 폭이 17만2천명으로 전 연령대에서 가장 높았다. 50대 취업자도 14만9천명 늘었다. 문제는 일자리의 질이 형편없다는 데 있다. 60살 이상 임금노동자의 경우 비정규직이 131만7천명으로 정규직(63만8천명)보다 두 배 이상 많다.
수명은 늘어나는데 사회안전망은 취약하고 노후 대비가 충분하지 않아 베이비붐 세대들이 정년퇴직을 하고도 계속 일을 하고 있는 것도 영향을 줬다. 지난해 고령자 통계를 보면, 고령층(55~79살) 중 장래에 일하기를 원하는 비율은 61%나 됐다. 57%가 ‘생활비에 보탬이 되기 위해서’라고 답했다. 비정규직에서 정규직, 중소기업에서 대기업으로 이동이 어려워 첫 취업부터 안정적인 일자리를 선호하는 청년층 고용은 부진한 상황이다. 지난 2월 청년 실업률은 12.5%로 역대 최고 수준을 보였다.
노동자들의 평균 연령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지난해 평균 연령은 44.4살로 1년 사이 0.2살 많아졌다. 1999년 처음으로 40대에 접어든 노동자 평균연령은 2004년 41.1살, 2006년 42살, 2010년 43.1살 등 계속 높아지고 있다.
김소연 기자 dandy@hani.co.kr
연령대별 취업자 비율 추이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