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선 현대자동차 부회장(왼쪽 셋째)과 척 로빈스 시스코 최고경영자가 19일 서울 양재동 현대자동차그룹 사옥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현대차는 19일 커넥티드 카의 핵심 기술을 세계 최대 네트워크장비 업체인 시스코와 협업해 개발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현대자동차 제공
정보통신기술 분야서 세계적 기업
대용량 데이터 제어기술 개발 목표
대용량 데이터 제어기술 개발 목표
현대자동차가 미래 커넥티드 카 개발을 위해 세계 최대 네트워크 장비와 솔루션 기업인 시스코와 협업한다.
현대차가 구상하는 커넥티드 카 콘셉트인 ‘초연결 지능형 자동차’는 정보통신 기술과 차량을 융합시키는 차원을 넘어 자동차 자체가 ‘달리는 고성능 컴퓨터’로, 자동차 내부는 물론 자동차와 자동차, 집, 사무실, 나아가 도시까지 하나로 연결하는 개념이다.
현대차는 19일 현대차그룹 본사 사옥에서 정의선 부회장과 척 로빈스 시스코 최고경영자(CEO) 등 두 회사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상호 협력을 통해 커넥티드 카 핵심 기술 중 하나인 ‘차량 네트워크 기술’을 개발하기로 했다. 현대차는 협업을 통해 차량 내부 데이터 송수신 제어를 위한 차량 내 초고속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시스코와의 이번 협력은 각 분야 최고의 기술력을 보유한 글로벌 기업과의 ‘오픈 이노베이션’(Open innovation) 방식의 협업을 통한 커넥티드 카 플랫폼 확보 전략의 일환이라고 현대차는 설명했다. 정의선 현대차 부회장은 “이번 협업은 현대차가 주도하는 미래 커넥티드 카 및 새로운 모빌리티 패러다임을 조기에 현실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시스코는 네트워크 장비와 솔루션을 공급하는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선두 기업이다. ‘차량 네트워크 기술’은 차량 내부에서 이뤄지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기술이다. 현 단계의 자동차는 제어해야 할 데이터 양이 많지 않아 소용량의 저속 네트워크가 기본으로 적용돼 왔지만, 미래 커넥티드 카의 경우 제어해야 할 장치는 물론 송수신 데이터 양도 방대하게 증가한다. 각종 데이터의 실시간 전달도 필수적이어서, 차량 내 초고속 연결망 구축도 필요하다.
현대차가 개발하려는 ‘차량 네트워크 기술’은 기존 차량 네트워크보다 매우 빠른 속도의 대용량 데이터 송수신은 물론 차량 내 여러 장치들과 개별 통신 및 제어를 목표로 하고 있다. 로빈스 최고경영자는 “이번 협업을 통한 기술적 혁신은 자동차 산업의 디지털화를 통한 파괴적 변화를 이끌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홍대선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