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27일 ‘청년·여성 취업연계 강화 방안’을 발표하면서, 청년·여성을 위한 ‘일자리 중개인’이 되겠다고 자임했다. 정부가 나서서 일자리를 발굴하고 수요자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해 채용까지 연결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의미다.
정부는 먼저 일자리 정보를 한자리에 모아 편의성을 높이기로 했다. 고용노동부가 운영하고 있는 취업정보망 ‘워크넷’을 중심으로, 각 부처 일자리 관련 사이트를 한곳에 모아 ‘일자리 포털’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워크넷 누리집 자체도 구직자 친화적으로 개편될 예정이다. 지금까지 근무지역·희망직종·희망임금 등 검색 조건을 넣어야만 개별 채용정보가 안내되는 방식으로 운용돼왔는데, 시작 화면에서부터 주요 채용정보를 안내하고 공공 채용정보를 제공한다.
일자리 발굴 및 채용 연계 과정에도 구직자의 눈높이를 고려했다. 먼저 미래창조과학부가 운영하는 전국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에 ‘고용존’을 설치하고, 정부 발굴 기업과 구직자를 직접 매칭하는 ‘청년 채용의 날’을 매달 한 차례씩 개최하기로 했다.
여성들의 임신·출산·육아로 인한 경력단절을 예방하려는 대책도 눈에 띈다. 정부는 중소기업이 경력단절 여성을 고용할 경우 적용받는 사회보험료 세액공제율을 기존 50%에서 100%로 인상하기로 했다. 출산·육아휴가로 인한 인력 공백을 해소하기 위해 채용된 대체인력 1인당 최대 월 60만원까지 지급하는 지원금의 적용 대상도 지난해 1274명에서 2017년엔 1만명으로 확대한다.
노현웅 기자
golok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