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간 소비자물가 평균 1.1%↑
생활속 체감 물가인식은 2.7%↑
“소비패턴 따른 지수 개발 필요”
생활속 체감 물가인식은 2.7%↑
“소비패턴 따른 지수 개발 필요”
정부가 발표하는 소비자물가와 국민들이 일상 생활에서 체감하는 물가 사이에 간극이 벌어져 정책 신뢰도에도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25일 국회예산정책처가 낸 ‘소비자물가지수와 체감물가의 괴리 원인 및 보완 방향’ 보고서를 보면, 2013년 1월부터 올해 3월까지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평균 1.1%에 그쳤지만, 소비자가 느끼는 체감도를 파악하기 위해 한국은행이 매달 실시하는 ‘물가인식’ 조사 결과는 평균 2.7%로 나타났다. 국민들은 지표보다 두배 이상 높은 물가상승률을 체감하고 있다는 뜻이다. 이같은 괴리 현상의 원인을 보고서는 우선 심리적 특성에서 찾았다. 판매자로부터 물가지수에 해당하는 제품의 실제 가격을 조사해 반영하는 소비자물가지수와 달리, 개별 소비자의 체감 물가인식은 각자의 체험과 정보를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간극이 생길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또 경제·심리학적 개념인 소비자들의 ‘손실 회피’ 성향(이익 추구보다 손실 회피에 더 중점을 두는 경향성)에 따라, 물가 하락에 따른 이익보다 물가가 오른 경우 입은 손실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점도 꼽았다.
보고서는 이어 소비자물가지수의 한계도 한 원인으로 짚었다. 소비자물가지수는 일상생활에 쓰이는 대표적인 상품과 서비스 가운데 481개 품목을 골라 월 1회 이상 가격을 조사한다. 문제는 저소득층은 이 가운데 필수재 지출 비중이 높고, 고소득층 가구는 사치재의 지출 비중이 높기 때문에 평균적인 소비 성향을 전제로 한 소비자물가지수에 대한 체감도가 다를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이에 보고서는 1인가구, 노인가구 등 다양한 소비패턴에 따른 물가지수를 개발해 물가지수의 체감도를 높이자고 제안했다.
노현웅 기자 golok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