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섭 개성공단기업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왼쪽 둘째)이 31일 오전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생존을 위한 개성공단기업 비상대책총회’에 참석해 고개를 숙인 채 눈을 감고 있다. 연합뉴스
비대위 총회 결의 “피해보상 미흡”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이 정부가 제시한 공단 가동 중단에 따른 지원 대책을 받아들이지 않기로 결의했다.
개성공단기업 비상대책위원회는 31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총회를 열어 “정부의 종합지원대책은 입주기업 피해에 대한 실질적인 보상이 전혀 될 수 없어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혔다. 특히 입주기업 대표들은 피해신고 금액 가운데 정부가 인정한 피해금액과 보상 기준에 강한 불만을 나타냈다.
앞서 정부는 3월17일~5월10일 개성공단 입주기업에 대한 실태조사를 한 결과 261개 업체가 신고한 피해금액은 9446억원이지만, 전문 회계기관의 검증을 통해 확인된 피해 금액은 7779억원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지난 27일 합동대책반 회의를 열어 토지·공장·기계 등 투자(고정)자산 피해에 대해 경협보험금 2906억원을 포함해 총 3865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한 입주기업 대표는 “기업이 피해를 입었다고 제출한 금액을 보상해줘야지 왜 흥정하는 것처럼 다 자른 채 (신고금액 일부만 인정하고) 보상 비율과 상한액을 설정하느냐”고 반발했다. 또다른 입주기업 대표는 “통일부가 피해신고 과정에서 ‘국회에 보고해야 하니 서두르라’고 하는 등 진정한 보상이 아니라 보여주기식 행정을 했다”고 비판했다.
비대위는 또 장마철 전 기계설비 점검과 근로자 임금 등 미수금 정산을 위해 기업인들의 방북을 허용해 달라고 남북 정부에 촉구했다. 정기섭 비대위원장은 “이른 시일 안에 방북 신청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영미 선임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